#사죄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사죄의 뜻을 전했다'와 '사죄했다'의 차이
'사의를 표하다'는 곧 '고맙다고 하다'이다. '사죄의 뜻을 전했다'라고 하지 말고 바로 '사죄했다'라고 쓰면 된다. 그것이 우리말다운, 자연스러운 표현이다.정치·외교적으로 쓰이는 ‘유감(遺憾)’은 말에서도 ‘악화가 양화를 구축(驅逐)’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다. 의미적 모호성이 특징인 이 말이 일상적 상황에까지 퍼져 다양한 기존 어휘 사용을 방해한다는 점에서 그렇다. 현실언어에서 유감이 쓰이는 영역은 꽤 넓다. ‘아쉽다, 안타깝다, 안쓰럽다, 서운하다, 섭섭하다, 언짢다, 불만스럽다’ 등 섬세하게 구별해 써야 할 말들을 대신한다. 심지어 ‘미안하다, 사과하다, 사죄하다, 죄송하다, 송구하다’ 등 용서를 구하는 말을 써야 할 때도 ‘유감’이 자리를 차지한다.유감·입장은 얼버무릴 때 쓰기 편한 말우리는 이미 ‘입장(立場)’에서 비슷한 경험을 겪었다. 일본에서도 잘 쓰지 않는 이 말이 들어와 대체한 우리말이 꽤 많다. ‘처지, 견해, 의견, 태도, 형편, 생각, 주장, 방침, 상황…’ 등 문맥에 따라 달리 쓸 말 10여 가지를 ‘입장’이 대신한다. ‘당혹스러워하고 있다’라고 해야 할 때 ‘당혹스럽다는 입장이다’ 식으로 써서 우리말을 망가뜨리기도 한다.입장처럼 유감도 모호하게 쓰인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 모호함은 어휘적·통사적 양쪽으로 실현된다. 우선 어휘적 측면에서 ‘유감’은 지난호에서부터 살폈듯이 일반적 상황에서 사과의 의미로 써서는 안 될 말이다. 오히려 그 반대로 마음에 차지 않고 서운한 감정이 남았다는 뜻을 담고 있다.다른 하나는 통사적 차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