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양력과 음력의 차이는?

    주니어 생글생글 제145호 커버스토리 주제는 양력과 음력이다. 설을 앞두고 양력과 음력의 유래를 알아봤다. 인류는 오랜 옛날부터 천체의 움직임과 계절 변화를 바탕으로 역법을 만들어 사용했다. 제때 농사를 짓고 종교의식을 치르기 위해서도 달력이 필요했다. 양력과 음력의 원리는 무엇이며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봤다. 윤달과 윤년이 있는 이유도 설명했다. 꿈을 이룬 사람들에선 그림 그리기를 주제로 한 TV 프로그램 ‘그림을 그립시다’ 주인공 밥 로스의 생애를 다뤘다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쌍춘년', 아직은 우리말 속 이단아

    △2023년 음력 날짜: 음력 1월 1일(양력 1월 22일), 음력 2월 1일(양력 2월 20일), 음력 윤2월 1일(양력 3월 22일), 음력 3월 1일(양력 4월 20일), …. △24절기: 소한 1월 6일, 대한 1월 20일, 입춘 2월 4일, 우수 2월 19일, ….지난해 6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다음 해 달력 제작의 기준으로 삼을 보도자료를 하나 배포했다. ‘2023년 월력요항’이 그것이다. ‘월력(月曆)’은 ‘달력(-曆)’과 같은 말이다. ‘월력요항’에는 천문역법에 따른 양력과 음력 날짜, 24절기, 명절, 공휴일 및 각종 기념일 등의 자료가 담긴다. 과기정통부 산하 한국천문연구원에서 매년 여름 발표한다.귀에 익은 ‘윤사월’…사전엔 못 올라지난해 자료에는 예년과 조금 다른 부분이 눈에 띈다. 음력 날짜에 ‘윤이월’이 들어 있는 게 그것이다. 2~3년에 한 번꼴로 오는 윤달은 ‘원달(元-)’ 앞에 ‘윤-’을 덧붙여 부른다. 윤이월, 윤삼월, 윤사월, 윤오월… 식이다. 월력요항은 올해 윤이월이 4월 중하순까지 이어진다고 알려준다.<표준국어대사전>에는 ‘윤이월’이 표제어로 올라 있다. 윤달은 윤이월뿐만 아니라 윤삼월도 있고, 윤사월도 있고 연말·연초를 빼곤 달마다 다 있다. 그런데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윤이월만 있고 다른 이름은 보이지 않는다. 외려 ‘윤사월’은 윤달 중에서도 우리 귀에 익은 말이라 표제어로 올릴 만하다. 고려대 <한국어대사전>은 ‘윤사월’을 올림말로 다뤘다. 윤사월이 유난히 우리에게 친근한 까닭은 만화방창한 이 계절을 노래한 문학예술 작품이 많기 때문인 듯하다. 고즈넉한 봄날 산속 정경과 그리움을 애잔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