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능
-
생글기자
일본 원전 오염수, '과학'과 '과학의 한계' 동시에 봐야
일본 정부가 올해 예정대로 후쿠시마원전 방사능 오염수(냉각수)를 바다로 방류할 계획이다. 정화시설(ALPS)을 거치면 대부분의 방사능 물질이 걸러지며, 남아 있는 삼중수소도 바닷물에 희석돼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현재 1000개에 달하는 저장 탱크에 보관 중인 오염수는 이미 ALPS 처리 과정을 거쳤다. 국제원자력기구(IAEA)도 “일본 정부의 해양 방출 계획은 기술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고 했다. 하지만 오염수 방류 시기가 가까워지면서 한국 등 주변국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원전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하는 첫 사례이기 때문이다. 작년 후쿠시마 근해에서 잡힌 생선에서 기준치의 14배에 달하는 세슘이 검출되기도 했다. 일본 정부의 “안전하다”는 주장은 ALPS가 완벽하게 작동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오염수에 남을 최종 방사성 물질이 무엇인지도 지금까지의 연구로는 알 수 없다고 한다. 반면 삼중수소와 관련한 우려가 과도하다는 지적도 많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과 한국원자력연구원에 따르면 방류되는 오염수는 태평양을 돌아 4~5년 뒤 우리 근해에 도달하겠지만, 우리 해역의 삼중수소 농도를 불과 10만분의 1 증가시킬 뿐이다. 또 후쿠시마에 저장된 삼중수소의 방사능은 1년에 빗물로 동해에 떨어지는 삼중수소의 방사능과 비슷하다고 한다. 무의미한 수준의 삼중수소 방출에 너무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얘기다. 오염수 방류 문제는 정치 공방을 위한 괴담 수준이 아니라 철저하게 ‘과학’에 근거해야 한다. 물론 과학의 한계를 동시에 봐야 한다. 아울러 국제사회가 신뢰할 수 있도록 일본 정부의 오염수 관리를 통제하는 방법도 필요하다. 김유민 생글기자(동탄고 2학년)
-
과학과 놀자
한국인 노벨상 수상자 올해도 배출 못했는데…한 달 꼬박 현미경 들여다 볼 호기심부터 가져야
또 한 번의 노벨상 시즌이 지나갔다. 지난 9월 말 연구실적 통계분석 기관인 클래리베이트가 발표한 '노벨상급' 인용지수를 갖춘 학자 명단에 현택환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가 포함돼 일각에서 올해는 혹시나 하는 기대도 있었던 모양이지만 올해도 한국인 노벨상 수상자는 없었다. 이렇게 노벨상 시즌이 지나고 나면 '우리는 언제쯤'이라는 질문이 어김없이 따라붙는다. 누구에게 묻느냐에 따라 이 질문에 대한 답은 '머지않아'부터 '아직 멀었다'까지 천차만별인데, 확실한 건 지금 당장은 아니란 거다.그런데 이런 문답을 접할 때마다 질문 자체가 섣부른 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든다. 물리학을 공부하려는 학생들에게 매년 강의시간에 어니스트 러더퍼드의 알파 입자 산란 실험 이야기를 해준다. 실험이 갖는 과학사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노벨상이라는 직접적인 보상이 없었다는 사실, 실험 방법의 개념적 단순함에 비해 극도로 지루한 실제 실험 과정이 극명하게 대비되는 훌륭한 예이기 때문이다.알파 입자 산란 실험이란 1900년대 초 원자핵의 존재를 처음으로 확인해 원자 구조를 밝혀낸 실험을 말하는데, 기본적인 실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종종 언론에 방사선 물질로 등장하는 라돈 가스에서 방출되는 방사선이 알파 입자인데, 이 알파 입자들을 아주 얇은 금박지에 쏴준다. 그러고 금박지에 부딪힌 알파 입자들이 어느 방향으로 얼마나 많이 튕겨 나갔는지를 측정하면 된다. 밥 로스의 말을 빌리자면 “참 쉽죠?” 오늘날에는 많은 대학에서 학부생 혼자 하루 만에 할 수 있는 실험이다. '끈기'로 밝힌 원자 구조당시의 원자 모형에 따르면 금박지에 쏴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