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커버스토리

    아름다운 기부·자발적 기부는 문화의 문제다

    연말 ‘기부 시즌’이 시작됐다. 매년 입김이 나오는 계절이 되면 거리에는 종소리와 함께 ‘이웃을 돕자’는 목소리가 들린다. 발길을 멈추고 따뜻한 손길을 내미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한국을 ‘기부 선진국’으로 보기는 어렵다. 영국 자선지원재단(CAF)이 매년 발표하는 ‘세계기부지수’에서 올해 한국 순위는 60위다. 호주(2위) 미국(4위) 등 선진국은 물론 인도네시아(1위) 케냐(8위) 나이지리아(16위)보다도 순위가 낮다. 국내 기부 규모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증가폭이 크지 않은 게 사실이다.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따르면 국내 연간 기부액은 2011년 11조1547억원에서 2016년 12조8684억원으로 5년 동안 15.4% 늘었다. 2016년 개인 기부금은 8조2113억원, 기업 기부금은 4조6471억원이었다. 과거에 비해 개인 기부금은 소폭 늘어나고, 기업 기부금은 줄어드는 추세다.개인 기부 참여율이 낮은 것도 한계로 꼽힌다. 한국 전체 기부금 중 개인 기부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60%가량이다. 선진국은 이 비중이 70~80%에 달한다. 기부금이 어디에 어떻게 쓰이는지 믿기 어려워 개인들이 기부를 꺼린다는 분석도 나온다. 기부금을 개인 경비로 쓰다가 적발되거나, 기부 제도가 사기범죄에 악용되는 등의 보도를 심심찮게 접하면서 기부에 대한 거부감이 생겨났다는 얘기다. ‘내 돈이 가치있게 쓰이고 있다’는 확신을 심어줘야 자발적인 모금을 늘릴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아름답고 자발적인 기부는 문화의 문제다.기부금이 크게 늘지 않는 원인과 올바른 기부문화를 조성하는 방안은 무엇인지 4, 5면에서 자세히 알아보자.이수빈 한국경제신문 지식사회부 기자 lsb@hankyung.com

  • 커버스토리

    국내 기부 수년간 제자리 수준…개인은 매년 소폭 늘어

    매년 이맘때 번화가에 가면 길거리에서 행인에게 기부를 요청하는 모금기관 관계자들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일부 단체 관계자는 길을 막아서는 등 집요한 방식으로 기부를 강요해 논란이 되기도 한다. 모금단체 관계자들은 “기부액은 증가하지 않는 와중에 모금단체는 속속 생겨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빚어진 풍경”이라고 설명한다.개인은 기부금이 어떻게 쓰이는지 믿지 못하고, 기업은 기부금이 뇌물로 오해받을 수 있다는 우려에 움츠러들면서 국내 기부금 규모는 지난 2011년 이후 5년 동안 15% 늘었지만 이는 사실상 답보 상태다. 영국 자선지원재단(CAF)이 발표한 ‘세계 기부지수’ 한국 순위도 2012년 45위에서 올해 60위로 하락했다. 기부 문화가 더욱 성숙해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기부금 매년 답보 상태한국 전체 기부금 규모는 2013년부터 12조원대에서 머물고 있다. 사회복지공동모금회가 발간한 ‘2018 기부 및 사회 이슈 트렌드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 기준 전체 모금기관 모금액 약 1조4000억원 중 5700억원 정도가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모금액이다. 사회복지공동모금회는 국내 유일한 모금 관련 법정단체다. 같은 해 월드비전이 2000억원, 유니세프와 굿네이버스, 어린이재단이 각각 1300억원가량 모금했다.이들 모금기관은 저마다 모금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대부분 단체가 일시후원이나 정기후원을 받는다. 사회복지공동모금회는 일반 개인, 회사원, 가정, 기업 등 기부자 층을 세분화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이들 단체는 매년 기부금으로 추진한 사업 성과도 발표한다. 보고서에서는 모금액이 가장 많이 쓰이는 분야가 북한·해외·기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