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입전형
-
대학 생글이 통신
나에게 유리한 대입 전형 찾는 방법은?
대입 정시 전형은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을 중심으로 입학생을 선발하는 방식입니다. 정시 전형에서도 내신 성적과 생활기록부, 면접 평가를 하는 대학이 있지만, 대부분 대학이 수능 점수에 매우 높은 비중을 두고 평가합니다. 따라서 정시 전형을 노리는 학생이라면, 무엇보다도 수능에 역점을 두고 공부해야 합니다. 반대로 내신이나 생활기록부보다 수능에 자신이 있다면, 정시 전형을 중심으로 본인이 목표로 하는 대학과 학과를 정하는 것이 좋다고 할 수 있습니다.정시 전형은 수시에 비해 지원 기회가 제한됩니다. 일부 대학을 제외하면 수시 전형에선 총 6곳에 지원할 수 있지만, 정시에서는 가군, 나군, 다군 등 총 3곳까지 지원할 수 있습니다. 또한 군에 따라 학교와 학과가 다르고, 1개 군에서는 1곳밖에 지원할 수 없기 때문에 내가 가고자 하는 학교와 학과가 어느 군에 있는지, 다른 군에서는 어느 학교 또는 학과를 갈 만한지 잘 살펴봐야 합니다. 즉 원서를 작성할 때 전략도 중요합니다.성적 외에 수험생의 제반 조건을 함께 평가하는 대입 전형도 있습니다. 먼저 지역인재 전형입니다. 지역인재 전형은 해당 대학의 소재지 출신 수험생만 지원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경북대학교 지역인재 전형은 대구와 경상북도 지역에서 고등학교 전 과정을 마친 학생을 대상으로 합니다. 지역인재 전형은 수시, 정시와는 다른 평가 기준을 적용합니다. 조건을 충족하는 수험생이라면 도전해볼 만합니다.다음으로 농어촌학생 전형이 있습니다. 고른 기회 전형, 기회균형 전형으로도 불리는 선발 방식입니다. 이 전형은 도시에 비해 열악한 환경에서 공부하는 농어촌 지역 학생을 대상으로 합니다.농어촌학
-
커버스토리
요동치는 대입 판도 전략은 어떻게?
교육부가 의과대학 증원과 전공자율선택(무전공) 확대를 핵심으로 하는 2025학년도 대입전형 시행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이에 따라 전국 39개 의대는 전년보다 1497명(48.1%) 늘어난 4610명(정원 외 포함)의 신입생을 뽑습니다. 수도권 의대가 1326명, 비수도권 의대는 3284명입니다. 수시로는 3118명(67.6%), 정시는 1492명(32.4%)을 선발하는데요, 수시 비중이 전년도보다 4.9%포인트 높아졌습니다. 이는 의대 증원이 비수도권 대학의 지역인재전형 중심으로 이뤄졌기 때문입니다.일단 대학에 들어간 뒤 2학년 때 전공을 결정하는 무전공제 선발은 전년보다 4배 늘어난 3만7935명(전체의 28.6%)으로 확정됐습니다. 주요 대학 신입생 10명 중 3명이 무전공으로 대학에 진학하게 되는 겁니다.최상위권 학생들이 지원하는 의대 증원에 관심이 쏠리는 것은 비수도권 의대 모집 확대로 이들 대학의 합격선이 내려갈 수 있고, 상위권 대학 이공계열에 동시 합격한 학생들이 비수도권 의대를 선택하는 등 연쇄효과가 클 것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또 대학 재학생들이 의대 진학을 위해 입시에 대거 합류하면 대입 과정은 더 요동칠 수 있습니다. 수시 원서 접수가 3개월밖에 남지 않아 합격선 예측도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27년 만의 의대 증원에서 알 수 있듯이 이번 대입 계획은 수능제도 도입 이후 가장 큰 폭의 변화로 평가받습니다. 그 자세한 내용을 4면에서 살펴보고, 5면에서는 입시 전문가의 전략 포인트를 들어보겠습니다.의대 지역인재 1913명…지방 모집 정원의 60%수도권·국립대 73곳, 10명 중 3명 '무전공' 선발● 2025학년도 대입전형 뜯어보니이번 대학입시 판도를 뒤흔들 진앙지는 바로 비수도권 의대의 ‘지역
-
대입전략
국어·수학 모든 선택과목 풀어보고 유불리 분석, 4~5월엔 약점 보완…공통과목 학습 마무리 지어야
올해 고3 첫 전국모의고사가 3월 24일(목)에 치러진다. 고교 재학 중 통합수능 방식으로는 처음 경험해보는 시험이다. 또한, 고3 들어 본인의 전국 위치를 점검해볼 수 있는 첫 시험이며 연간 학습 전략을 결정짓는 중요한 시험이다. 단순히 교육청 모의고사라고 폄하해선 곤란하다. 3월 모의고사의 의미를 짚어보고, 시험 직후 분석 포인트 및 수능 학습 전략을 소개한다. 지난해 서울대 인문계 학과 합격생 중 44.4%가 이과생2022학년도 통합수능 첫해 결과는 충격적이었다. 수학 1등급 내 이과생(미적분, 기하 선택) 비중은 86.0%로 추정된다. 2등급 내 이과생 비중 추정치도 79.7%로 높다. 수학 1, 2등급 학생의 80%가량은 이과생이었다는 것이다. 수학 표준점수 최고점 또한 미적분과 기하가 147점으로 확률과 통계(144점)보다 높게 형성됐다. 동일하게 100점을 받았어도 표준점수는 이과생이 더 높게 나왔다. 이런 현상은 모든 점수 구간에서 관찰된다.통합수능 체제에서 이과생 강세 현상은 대입 지형을 바꿨다. 이과생들이 수학에서 강세를 앞세워 인문계 학과로 대거 교차지원에 나섰다. 종로학원 표본조사(1만2884명) 결과, 2022 대입에서 주요 21개대 인문계 학과 지원자 중 29.0%가 이과생으로 조사됐다.실제 합격자 분포에서도 이과생 강세가 확인된다. 지난해 서울대 정시 인문계 학과 합격생 중 이과생 비중은 44.4%에 달했다. 자유전공학부의 경우 94.6%가 이과생이었다. 정시모집 가군과 다군에서 의약학계열에 지원한 이과 최상위권 학생들이 나군에서 서울대 인문계 학과로 대거 교차지원하면서 벌어진 결과였다. 3월 모의고사로 국어, 수학 선택과목 강약 분석 중요올해 고3 학생이라면 지난해 통합수능 첫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