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사
-
경제 기타
개화 전, 장사는 천한 '말업' 큰 돈 벌면 장사 '끝'…개화 후, 큰 돈 벌어서 기업 이어가면서 '확장 경영'
박승직, 김성수, 김연수, 박흥식 등 초기의 기업가들 이야기를 세 번에 걸쳐 연재했다. 이들 개화기의 기업가들이 초기의 본격적 기업가들이기는 하지만 최초라고 말하긴 어렵다. 조선조에도 이미 원초적 형태의 기업가, 즉 상인들은 있었다. 하지만 그들을 본격적인 기업가라고 말하긴 어렵다. 박승직부터 시작되는 개화기의 신흥 상인들과는 행동 방식이 많이 달랐다. 그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자.■ 기억해 주세요^^기업가 정신이 우리나라에 생기기 시작한 것은 갑오개혁 이후부터입니다. 이전에 상업은 천한 직업으로 홀대받았어요.개처럼 번 뒤 정승처럼 폼내면서 살다조선조 상인의 대표 격은 철종 때의 임상옥이다. 소설가 최인호가 그의 일생을 상도(商道)라는 소설로 출간하면서 널리 알려졌다. 그는 중국과의 인삼거래로 큰돈을 벌었다.임상옥이 박승직, 김연수 등 개화기의 상인들과 결정적으로 달랐던 점은 돈을 번 후의 행동이다. 박승직 등은 돈 버는 데에 성공한 후에도 그 성공을 기반삼아 사업을 더욱 크게 키워나갔다. 자식들에게도 물려줬다. 반면 임상옥은 그렇게 하지 않았다. 일단 큰돈을 벌자, 장사를 그만 두고 벼슬길에 나섰다. 수재 의연금을 낸 공으로 곽산 군수가 되었고, 더 이상 승진이 안되자 고향으로 돌아가 안빈낙도의 생활을 시작했다. 좋은 집을 지어 놓고 선비들을 두루 불러 세상을 논했고 술을 마시며 시를 읊었다.장사는 천한 일이었다. 할 수만 있다면 하루라도 빨리 버려야 했다. 그렇기 때문에 돈을 벌면 양반 족보와 벼슬을 사서 어떻게든 팔자를 바꾸려 했다. “개처럼 벌어서 정승처럼 쓴다”는 속담이 괜히 나온 것이 아니었다.갑오개혁 이후 사농공상&r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