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기물
-
생글기자
첨단 전자제품, 폐기물 증가 부작용 만만찮다
현대인의 삶의 질을 높여주는 첨단 가전제품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유튜브와 OTT 서비스를 언제든지 보여주는 초대형 평면 TV, 세탁물의 오염도와 양을 측정해 알맞게 세탁해주는 세탁기, ‘이모님’이란 별명의 식기세척기와 로봇청소기까지… 스마트한 가전제품이 쏟아진다.그러나 이런 첨단 기능에 따르는 부작용에 대해 고민해볼 필요도 있다. 대표적인 게 전자제품의 수명 감소 현상이다. 첨단 가전제품은 다수의 복잡한 전자적 부품과 민감한 센서를 사용하고 있으며, 제조 비용을 절감하려고 철 대신 플라스틱이나 알루미늄을 많이 사용한다. 이러한 2개의 조합은 제품의 초기 불량은 물론 전체 수명에 악영향을 미친다.전자제품의 수명이 줄면 전자제품 폐기물 양이 크게 늘어날 수 있다. 유엔과 세계보건기구(WHO) 등에 따르면 전자제품 폐기물의 양은 유례없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2019년 약 5360만 톤이던 세계 전체 전자 폐기물은 2030년 7500만 톤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그러나 가전제품 폐기물의 재활용률은 17.4%에 불과하다. 이 과정에서 저개발국의 환경은 더욱 오염될 것이다.전자제품을 생산하는 데 이미 많은 자원이 소모되고 에너지가 사용되었는데, 그 폐기 과정 역시 쉽지 않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한다. 새 전자제품에 붙어 있는 친환경 마크와 폐가전제품 무상수거 제도에 안심해서는 안 된다. 고장 없이 오래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이 진짜 친환경 제품이다. 다행히 이 문제에 대한 소비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기업들도 이런 소비자의 니즈를 반영한 제품을 꾸준히 생산할 수 있기를 바란다.최선호 생글기자(청심국제고 3학년)
-
경제 기타
동남아 국가들, 선진국 폐기물 수입 잇단 거부 나서
선진국 쓰레기 처리 문제를 놓고 몸살을 앓고 있는 아시아 개발도상국들이 실력 행사에 나섰다. 말레이시아 필리핀 인도네시아 베트남 캄보디아 등이 기존 쓰레기를 해당 국가에 되돌려 보내는 것은 물론 아예 해외 쓰레기 반입을 법으로 금지하기 시작했다. 이들 국가는 “더는 선진국의 쓰레기 처리장이 되지 않겠다”며 플라스틱 폐기물 수입 금지를 법제화했거나 관련 법규 마련을 추진 중이다.“다시 가져가라”…동남아시아의 쓰레기 반격캄보디아 환경부는 지난 7월 16일 남서부 시아누크빌항에서 1600t의 쓰레기로 가득 찬 컨테이너 83개를 적발했다. 출처를 확인한 결과 70개는 미국에서, 13개는 캐나다에서 밀반입된 것으로 확인됐다. 캄보디아 당국은 이들 쓰레기를 모두 반송하고 관련자를 처벌하기로 했다. 앞서 훈센 캄보디아 총리는 국무회의에서 관계 부처에 쓰레기 수입 금지를 지시했다.인도네시아 환경부와 수라바야 세관당국은 지난달 재활용이 불가능한 쓰레기로 가득 찬 컨테이너 5개를 수라바야에서 미 서부 도시 시애틀로 돌려보냈다. 인도네시아 세관에는 이들 컨테이너에 재활용이 가능한 종이만 실렸다고 신고됐지만 실제로는 플라스틱과 유리병, 기저귀 등이 넘쳐났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불법으로 수입된 폐기물을 조사해 규정 위반 국가와 반송 폐기물 리스트를 발표할 예정이다.말레이시아 정부도 지난 5월 수도 쿠알라룸푸르 서쪽 클랑항에서 450t 분량의 폐기물 컨테이너 10개를 적발해 모두 되돌려보냈다. 이들 쓰레기는 미국 영국 일본 사우디아라비아 캐나다 호주 중국 등 10개국에서 밀반입된 것으로 알려졌다. 말레이시아 정부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달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