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학금
-
대학 생글이 통신
예비 대학생을 위한 장학금 정보 찾는 방법
대학 입학을 앞둔 학생이라면 각종 장학금에도 관심이 있을 것입니다. 대학생을 위한 장학금이 생각보다 많은데, 정보가 부족하거나 어디서 어떻게 신청해야 할지 몰라 그냥 놓치는 학생들이 적지 않습니다. 대학 예비 새내기를 위한 장학금 정보 찾는 방법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첫 번째는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한국장학재단에는 소득 연계형 국가장학금 외에 국가 우수 장학금, 국가 근로 장학금, 지역 인재 장학금 등 다양한 장학금 제도가 있습니다. 국가 우수 장학금은 소득과 무관하게 각 분야의 우수한 학생에게 대학 등록금과 생활비를 지원합니다. 국가 근로 장학금은 대학생에게 근로 기회를 제공하고 그 대가로 장학금을 주는 제도입니다. 지역 인재 장학금은 비수도권 고교를 졸업하고 비수도권 대학에 입학한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장학금이니 조건을 충족한다면 신청해볼 만합니다.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에서 장학금→통학로(통합 학생 지원 정보로)→학자금 지원 정보 찾기로 들어가면 내 조건에 맞는 장학금 정보를 찾을 수 있습니다. 어떤 장학금을 활용할 수 있는지 모르겠다면 꼭 한번 들어가보기 바랍니다.두 번째로는 곧 입학할 대학교의 홈페이지를 활용하는 방법입니다. 대학마다 자체적으로 지급하는 장학금 외에 다양한 외부 장학금이 있습니다. 제가 다니는 성균관대 역시 홈페이지를 잘 살펴보면 동창회 장학금과 기타 외부 재단에서 운영하는 장학금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장학금마다 지원 조건에 차이가 있으니 꼼꼼하게 확인해야 합니다. 장학금을 신청하려면 제출해야 할 문서도 많고, 어떤 장학금은 자기소개서도 정성 들여 작성
-
시사 이슈 찬반토론
대학 재정난, 장학금 부족…기여입학제 공론화 시작하면 어떨까
미국 연방대법원이 6월 29일, 62년간 자국 대학 입학 때 인종 문제를 고려해 온 입시 정책인 ‘Affirmative Action(인종 등 소수집단 우대 정책)’에 대해 위헌 결정을 내렸다. 다양성, 인종 간 차별 철폐를 명분으로 흑인·히스패닉 등을 우대하면서 백인과 공부 잘하는 아시아계를 역차별한다는 논란을 불러온 정책이 폐기되게 됐다. 이를 계기로 한국 입시에서 ‘3불(不)’의 하나인 기여입학제를 돌아본다. 입시에서 정원 외 일정 비율만큼 대학에 금전적 기여 등을 할 경우 입학을 허용하는 것이다. 과거 개발 연대에 ‘뒷문’으로 은밀히 입학시킨 것을 양성화하는 측면도 있고, 대학의 재정난을 타개할 현실적 방법이라는 주장도 있다. 물론 충분한 사회적 공론을 거쳐야 할 것이다. 기여입학제는 냉철하게 토론도 못 할 사안인가, 바로 검토라도 해 볼 만한가.[찬성] '정원 외' 운용 대학 재정에 도움…투명·공개 관리, 시행하면 정부 지원금지한국 대학의 낙후된 현실을 직시할 필요가 있다. 국내 최고 대학들도 국제 평가에서 뒤로 밀려나 있다. 15년째 등록금이 동결되면서 대부분 대학이 재정난을 호소한다. 정부는 이런저런 명목으로 대학에 지원금을 조금씩 나눠 주면서 굴종을 요구한다. 대학 총장들이 교육부 관련 부서에 가서 고개를 조아리며 지원금을 받아 오고, 온갖 간섭과 규제에 휘둘린다. ‘진리의 아성’ ‘상아탑’ 같은 표현은 다 옛말이다. 기여입학제는 나랏돈을 쓰지 않으면서 이런 대학을 정상화할 수 있다. 기존의 ‘정원 외 1%’ 식으로 제한하면 기여 입학생으로 불이익을 받는 수험생도 없다. 가령 서울의 유수 사립대에 정원 외로 30~40명 정도 학생을 더 수용하면 학과 배정에 따라 해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