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양
-
키워드 시사경제
집 지어도 사는 사람이 없다…부동산 시장 '꽁꽁'
“요즘 같은 거래 절벽은 처음 봤습니다. ‘급급매’를 놓고 가격을 흥정하던 수요자마저 매수 의사를 거둬들였어요.”서울 상계동의 한 아파트단지에서 만난 30년차 공인중개사 김모 대표의 설명은 꽁꽁 얼어붙은 주택시장 상황을 잘 보여준다. 김 대표는 “갈수록 시장이 나빠지는데 금리까지 오르니 누가 집을 사겠느냐”고 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 들어 8월까지 전국 주택 매매량은 38만5391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73만7317건)보다 47.7% 급감했다. 수도권은 57.3%, 지방은 38.5% 줄어 수도권의 감소 폭이 더 컸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인상 기조를 이어가고 있는 점도 분위기를 더욱 어둡게 하고 있다. 집은 현실적으로 대출을 끼고 사는 사람이 절대다수이기 때문이다. 주택시장 선행지표…올 들어 85% 급증이런 가운데 주택시장의 선행지표로 꼽히는 ‘미분양’은 늘고 있다. 미분양이란 정부 승인을 받아 일반인을 대상으로 분양했지만 소화되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8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3만2722가구로 한 달 새 4.6%, 작년 말과 비교하면 85.8% 늘었다. 지난해 10~11월 1만4000가구 안팎으로 바닥을 찍은 이후 매달 증가 추세다.미분양 물량은 여러 이유로 생겨날 수 있다. 단순히 청약 신청을 잘못해 부적격 판정을 받거나 돈을 제때 내지 못해 계약이 해지되는 사례가 꽤 있다. 집을 다 지어놨는데도 주인을 찾지 못하는 ‘준공 후 미분양’이 급증하면 문제는 심각해진다. 건설사들은 준공 후 미분양을 이른바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한다. 8월 말 기준 서울 지역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188가구)은 전월 대비 24.5%, 수도권(1042가구)에서는 2.5%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