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생글기자

    사도광산 조선인 강제 노역 결국 숨긴 일본

    일본 니가타현 사도섬에 있는 사도광산이 지난달 27일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됐다. 이곳은 일제강점기에 조선인이 강제 노동을 하던 현장이다.사도광산에서 약 2km 떨어진 아이카와 향토박물관에는 과거 이곳에 1000명이 넘는 조선인 노동자가 있었다고 기록돼 있다. 그러나 일본 정부는 세계문화유산 등재 과정에서 ‘강제 동원’ ‘강제 노역’ 등의 사실을 표기하지 않았다.2015년 군함도를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할 때도 일본은 강제 동원 사실을 숨기려 했다. 세계유산위원회가 전체 역사를 기술하라고 했지만, 일본 정부는 따르지 않았다. 그러다 결국 강제 노역 사실을 인정했다.일본 언론도 거들고 있다. 요미우리신문은 사도광산과 관련해 “강제 노역이라는 문구를 사용하지 않은 대신 당시 생활을 전시하기로 협상했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한국 정부는 이 보도에 대해 “사실무근”이라고 밝혔다. 산케이신문은 “조선인 노동자와 관련한 전시는 불필요하다”고 주장했다.일본은 한국의 반발에도 사도광산의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추진했다. 일본은 이번 세계문화유산 등재는 조선인 강제 노역이 있기 전인 17~19세기에 한정한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강제 노역의 역사를 부정하려는 태도를 보여 비판을 받고 있다.한국 정부의 태도에 대해서도 비판이 나온다. 우리 정부는 사도광산 세계문화유산 등재 최종 심사에서 반대표를 행사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정부가 강제 동원 역사를 왜곡하는 일본의 손을 들어줬다는 비난 여론이 일고 있다.김서윤 생글기자(월촌중 1학년)

  • 생글기자

    '조선인 강제 노역' 日 사도 광산…세계문화유산 등재 안돼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 노역이 벌어졌던 사도 광산을 일본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하려 해 논란이 일고 있다. 일본 니가타현 사도섬에 있는 사도 광산은 에도시대 일본 최대 금광이었다. 그러나 이곳은 일본이 태평양전쟁 중 군수물자 조달을 위해 조선인을 강제로 동원해 노역을 시킨 곳이다.일본 정부는 사도 광산을 세계문화유산으로 추천하면서 대상 기간을 에도시대로 한정했다. 이는 20세기 중반에 벌어진 강제 노역에 대한 논란을 피해 가려는 술수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일본 정부는 2015년 역시 강제 노역의 현장이었던 하시마(군함도)가 포함된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면서 강제 동원과 관련된 역사적 사실을 알리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그 후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반면 일본은 한국, 중국 등 여러 나라가 공동 신청한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의 세계기록유산 등재에 반대해 결국 등재를 보류시켰다. 자국에 부끄러운 역사가 알려지는 것은 한사코 막으면서 유리한 부분만 세계문화유산으로 남기려는 일본의 태도는 납득하기 어렵다.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은 인류가 공유해야 할 보편적 가치가 있는 유산을 보호하기 위해 지정하는 것이다. 일본 정부의 역사 왜곡은 세계문화유산의 취지에도 적합하지 않다. 사도 광산을 세계문화유산으로 남기고 싶다면 일본은 과거의 부끄러운 역사를 인정하고 반성하는 자세부터 보여야 한다. 그런 자세는 얼어붙은 한·일 관계를 풀 수 있는 출발점이기도 하다.이성민 생글기자(대전관저중 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