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39) 칸트의 철학(상) - 칸트의 인식론

    아리스토텔레스나 루소와 같이 유명한 철학자들이 산책을 즐긴 것을 보면 산책은 사 색하는 데 좋은 기회와 환경을 제공해 주는 것 같다. 칸트 또한 매일 일정한 시간에 쾨 니히스베르크 철학자의 길을 따라 산책을 하였는데, 그것이 너무 규칙적이어서 사람 들이 그를 보고 시계를 맞추었다는 유명한 일화가 있다. 이와 같은 산책을 통하여 칸트 는 자신의 철학적 사유를 발전시켰을 것이다.사색을 즐겼던 칸트칸트 이전에 대부분 사람들은 우리의 감각과 이성이 우리들에게 우리 밖에 있는 세계에 접근할 수 있도록 만들어준다고 가정하였다. 전자는 경험론자이고 후자는 합리론자이다. 이런 관점에서 사람들은 이성과 과학의 도구를 사용해서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그러나 《순수이성비판》이라는 책에서, 칸트는 이런 가정들은 잘못된 것이라고 지적한다. 칸트의 말을 들어보자. 인간이 알 수 있는 데는 많은 한계와 제한이 있다. 우리가 이성을 사용해서 이성의 한계점이 무엇인지를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성이 어떤 주장들을 판결할 수 있는가를 조사하지 않고 이성에 근거해서 주장하는 것이 매우 독단적이다. 합리적이기 위해서, 이성은 그 자신의 영역을 검사해야 한다. 칸트는 인식 내용의 참과 거짓을 문제 삼기에 앞서 자신의 인식 능력 자체, 즉 이성을 비판적으로 검토해보고자 한 것이다. 이는 예컨대 한 사람이 안경을 끼고 주변을 살펴보면서 자신에게 보여진 것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다가 문득 자신이 안경을 끼고 있음을 의식하고서 안경을 주제로 그 안경 자체를 탐구하겠다는 것과 마찬가지 이치이다.인간의 타고난 정신형식《순수이성비판》에서 칸트가 어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