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유출
-
커버스토리
개인정보 유출로 위기 맞은 페이스북 … 한국은 괜찮나
미국 페이스북이 수천만 명의 개인정보가 유출된 사건으로 위기를 맞고 있다. 페이스북은 2016년 미국 대선 당시 도널드 트럼프 후보 측과 연관된 영국 데이터 분석기업 케임브리지애널리티카(CA)가 최대 8700만 명의 페이스북 정보를 동의 없이 수집해 활용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지난 4일 발표했다. 애초 추정치인 5000만 명을 훨씬 웃도는 규모다. 한국인 사용자도 최대 8만5893명이 피해를 봤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인터넷에 ‘페이스북을 삭제하자(#DeleteFacebook)’는 해시태그가 달린 글이 쏟아지는 등 비판 여론이 들끓고 있다.정보기술(IT)이 발전할수록 해킹 기술도 강해진다. 국내에서도 2011년 네이트·싸이월드 해킹으로 3500만 명, 2014년 KB국민·롯데·농협카드 정보 유출로 2000만 명이 피해를 봤다. 방송통신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5년 동안 발생한 크고 작은 개인정보 유출 사건은 확인된 것만 100건이 넘는다. 2014년 야후에서 가입자 5억 명의 개인정보가 털리는 등 해외에서도 관련 사고가 끊이지 않는다. 보안의 기본 원칙을 소홀히 해 발생한 사고가 대부분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개인정보 유출 사고를 막기 위해 관리·감독과 처벌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거세지고 있다. 기업이 개인정보를 보관할 때 당사자를 알 수 없도록 하는 ‘비식별 처리’를 확대 적용하는 방안 등이 거론된다. 하지만 개인정보 관련 규제가 지나치게 강화되면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영역인 빅데이터 등의 발전을 가로막을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도 만만치 않다. 보안 강화에만 매달려 신성장동력의 싹을 자르는 우를 범해서는 안 된다는 얘기다. 국내외 주요 개인정보 유출 사고의 사례와
-
커버스토리
IT 기업·금융회사 등 개인정보 유출로 곤욕 치러
2004년 설립된 페이스북은 20억 명이 넘는 가입자를 끌어모으며 세계 최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로 승승장구해왔다. 하지만 최근 개인정보 유출 파문으로 창사 이후 최대 위기를 맞고 있다. 페이스북 사례에서 보듯 개인정보 보안의 중요성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철통 방어’가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 정보기술(IT)의 발달로 스마트기기와 서버 등에 갈수록 방대한 데이터가 기록되는 추세이고, 보안기술이 발전하는 만큼 해킹기술도 향상되기 때문이다.‘역대급’ 정보유출 사건 뭐가 있었나글로벌 IT 기업에서는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종종 터져나온다. 역대 최악의 사건으로는 2014년 미국 포털사이트 야후의 해킹 사건이 꼽힌다. 야후 가입자 5억 명의 이름, 이메일, 전화번호, 생년월일, 비밀번호, 본인인증 질문 등 민감한 항목이 유출된 것으로 드러났다.국내에서는 2011년 네이트와 싸이월드 사건이 큰 파장을 일으켰다. 중국의 한 해커가 서버에 몰래 침투해 3500만 명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등을 빼냈다. 2014년에는 KB국민카드, 롯데카드, NH농협은행 등 금융회사 세 곳에서 2000만 명의 정보 유출이 드러났다. 한 신용정보회사 직원이 계획적으로 개인정보를 캐내 대출업자에게 팔아넘겼는데, 정보를 암호화하지 않은 채 외부업체 직원이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보안수칙이 허술했던 점이 원인이었다.방송통신위원회에 따르면 2013년부터 2017년 7월까지 해킹 등으로 116건의 크고 작은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발생했다. 이로 인해 총 5342만 개 이상의 개인정보가 빠져나간 것으로 집계됐다. 유출 규모조차 파악이 안 되는 사고가 23건에 달해 실제 피해 규모는 훨씬 클 것으로 추정
-
커버스토리
첨단기술 발달로 수집 정보 늘어 규제 목소리 커져
2002년 개봉한 톰 크루즈 주연의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에는 길거리에서 사람들이 지나갈 때마다 맞춤형 광고가 나오는 장면이 나온다. 당시에는 신기한 모습으로 비쳤지만 지금은 우리 생활 속에서도 맞춤형 광고를 쉽게 볼 수 있다. 페이스북이나 구글, 네이버 등에서 볼 수 있는 각종 광고는 업체들이 우리의 온라인 활동을 분석해 가장 관련성이 높은 광고를 보여주는 것이다. 바꿔 말하면 개인 정보를 누군가가 빼꼼히 들여다보고, 자칫 이런 개인 정보가 나쁜 의도를 가진 또 다른 누군가에게 유출되고 악용될 수도 있다는 얘기다.IT 발달로 정보 수집 경로 다양해져우리가 수집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사물인터넷(IoT)과 같은 기술의 발달 덕분이다. 과거에는 인터넷 검색 기록이나 방문 사이트를 찾아보는 게 전부였다면 지금은 일상생활에서의 개인별 움직임까지 실시간으로 알아챌 수 있다. 스마트폰 위치추적시스템(GPS)과 각종 센서를 활용해서다. 기업들은 이 같은 정보를 모은 빅데이터를 통해 새로운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 정보기술(IT) 기업은 물론 유통, 의료, 서비스 등 산업 전반에 걸쳐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분야가 늘어나는 추세다.하지만 편리함과 비례해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지난달 페이스북 회원 8700만여 명의 개인정보가 유출된 게 대표적인 사례다. 이용자 의지와 상관없이 기업 실수로 내 정보가 누군가의 손에 들어가 악용될 수 있다는 점이 증명됐다. 페이스북이 이용자 정보의 제3자 유출을 사실상 방치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국내에서도 기업의 광범위한 정보 수집을 제한해야 한다는 의견이 힘을 얻고 있다.비식별 처리·가명정보 등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