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MR
-
커버스토리
'가정간편식'의 진화… 식탁이 달라지고 있다
대한민국 식탁이 바뀌고 있다. 밥을 짓고 국을 끓이고 전을 부치는 대신, 햇반과 완성된 요리가 들어 있는 봉지를 전자레인지에 돌린다. 이런 식품들을 ‘가정간편식(HMR: homemeal replacement)’이라고 한다. 과거엔 간편하게 한 끼를 때우는 데 그쳤다면, 요즘엔 한국인의 ‘영혼음식’이라고 불리는 국, 탕, 찌개까지 식품업체들이 만든 간편식이 빠르게 대체하는 중이다. 김치를 사먹은 지는 꽤 오래 됐다.가정간편식 시장은 빠른 속도로 커지고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와 시장조사 회사인 링크아즈텍 등에 따르면 국내 HMR시장은 4조원을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2012년 1조원을 밑돌던 시장 규모는 2016년 2조원을 넘어선 뒤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그것도 라면은 제외한 수치다. 국내 라면시장 규모는 2조원 안팎이다.HMR을 선호하는 소비층은 젊은 세대다. 1인 가구와 맞벌이 가구 등이 주 고객층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최근의 HMR시장은 5060세대가 주도하고 있다. 시장 트렌드 조사업체인 칸타월드패널에 따르면 자녀가 독립 가구를 꾸린 55세 이상 가구는 지난 1년간 즉석밥(햇반 오뚜기밥 등) 소비를 전년보다 49.5% 늘렸다. 또 대학생 자녀를 둔 가구는 즉석밥과 함께 간단한 요리가 곁들여진 컵반 소비를 84% 늘린 것으로 조사됐다.가정간편식은 우리 사회의 변화를 반영하는 동시에 사회 경제의 모습을 확 바꾸고 있다. 가정에서 ‘엄마’의 롤모델이 달라지고 여가를 보내는 시간 등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전기밥솥이 예전보다 덜 팔리고 기사식당도 간편식과 경쟁하고 있다. HMR이 무엇이고, 어떤 변화들이 있는지 4, 5면에서 자세히 알아보자.김재후 한국경제신문 생활경제부 기자 hu@hankyung.c
-
커버스토리
가정간편식의 급성장은 사회 변화상 반영하죠
국내 가정간편식(HMR) 시장이 2년 만에 두 배 커지며 올해 4조원을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냉동간편식이나 라면을 빼고 즉석섭취 조리식품만 따진 규모다. 전반적으로 경제 성장이 둔화된 상황에서 이렇게 급성장하는 산업은 별로 없다. HMR이 국내 산업의 블루오션으로 떠오르고 있다고 평가받는 이유다.HMR의 역사는 20세기 말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작성한 ‘가공식품 세분시장 현황, 간편식 시장’이란 보고서는 국내 HMR 시장을 지금까지 4세대로 구분하고 있다.이에 따르면 ‘간편식 1세대’는 1980년대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다. 1981년 오뚜기 3분카레, 이듬해 오뚜기 3분짜장이 등장하면서 오뚜기가 국내 즉석식품 시장을 주도했다. 15년 뒤인 1996년엔 CJ제일제당이 햇반을 내놓으면서 국내 즉석밥 시장도 태동했다. 2002년 농심의 햅쌀밥, 2004년 오뚜기의 맛있는 오뚜기밥, 2005년 동원의 센쿡 등이 즉석밥 시장에 참전했다. 즉석밥과 3분요리가 HMR 시장을 형성한 게 1세대다.‘2세대’는 2000년 초반부터 2013년까지다. 풀무원과 오뚜기가 냉장면과 냉장죽 등 냉장식품을 내놓은 때다. 동원이 ‘개성’이란 브랜드를 만들어 왕만두로 만두시장에 나왔고, 다른 식품회사들도 다양한 만두를 출시하며 프리미엄 만두 시장이 생겨났다. 보고서는 “2세대까지만 해도 식사라는 개념보다 별식이란 인식이 강했다”고 했다.‘3세대’와 ‘4세대’는 시기가 짧다. 3세대는 2013~2014년, 4세대는 2015년부터 지금까지다. 3세대엔 컵밥 냉동볶음밥 국 탕 찌개 떡갈비 등 한식 반찬 등이 HMR로 쏟아지기 시작했다. 중국요리나 태국음식 등 해외 먹거리도 HMR로 출시되
-
커버스토리
고령화·밀레니엄 세대 등장하며 건강식으로 진화 중
가정간편식(HMR)은 미국 영국 일본 등 선진국 시장에서 먼저 발달했다. 도시화와 여성의 활발한 사회 진출 등이 영향을 미쳤다. 시장조사기관 글로벌마켓데이터에 따르면 세계 HMR 시장 규모는 1573억달러(2016년 기준)다. 2021년에는 1891억달러로 5년간 2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할 전망이다.노인·편의점이 키우는 일본의 중식(中食)일본에서 HMR은 중식(中食·나카쇼쿠)이라고 불린다. 집에서 먹는 밥과 밖에서 먹는 밥의 중간이라는 뜻이다. 일본의 HMR 시장은 229억달러(약 24조5373억원) 규모다. 노인 인구가 전체 인구의 4분의 1을 차지하는 일본에서는 인구가 줄고 있지만 HMR 시장 전망은 밝다.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전체 HMR의 판매량이 줄더라도 제품 한 개당 가격이 꾸준히 오르고 있기 때문이다.‘유통왕국’ 일본에서 HMR은 대부분 슈퍼마켓과 편의점에서 팔린다. 두 채널에서 판매되는 비중이 전체 HMR 판매량의 약 80%에 달한다. 편의점은 원래 도시 직장인과 대학생 등을 위한 점포였으나 최근에는 중·장년층과 노인층을 빠르게 흡수하면서 HMR의 주요 유통 경로가 됐다. 실버 세대가 대형 마트에 차를 타고 장을 보러 가거나 무거운 물건을 들 수 없기 때문에 그 대안으로 편의점이 부상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HMR 중에서 성장이 빠른 제품군은 수프다. 씹지 않고 소화가 잘되는 데다 영양소도 갖추고 있어서다. 한 컵 용량의 수프에 아보카도 1개 분량의 비타민E를 담은 수프, 분말 스틱과 캔 수프 등 1인 가구와 실버 세대에 맞춘 혁신 제품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그 결과 일본의 수프 시장은 지난해 2조원대에서 올해 3조원대로 커졌다. 씹기 편하고 소화가 잘 되도록 만든 ‘고
-
가정 간편식의 진화… 대한민국 밥상을 바꾸다
국내 가정간편식(HMR·home meal replacement)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올해 시장 규모는 4조원을 넘어서며 2년간 두 배나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1인 가구와 맞벌이 가구가 늘어나면서 ‘건강한 인스턴트’ 식품 수요가 급증하는 등 식생활 스타일이 변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1981년 출시된 오뚜기 ‘3분카레’는 간편식의 원조 격이다. 이듬해에는 오뚜기 ‘3분짜장’이 나왔고, 1996년에는 CJ제일제당이 ‘햇반’을 내놓으면서 즉석밥 시장이 태동했다. 냉장면과 냉장죽 만두 등 냉동식품에 이어 컵밥 국 찌개 등으로 가정간편식은 지속적으로 진화했다. 백화점, 대형마트도 자체브랜드(PB) 상품을 잇달아 내놓으며 대한민국의 식탁을 빠르게 바꿔놓고 있다. 전미영 서울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고령화와 당뇨 환자 등을 위한 맞춤형 제품이 등장하는 등 시장 규모가 계속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