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면
-
생글기자
한국 라면에 빠진 세계인…소프트파워 중요하다
최근 인터넷에서는 불닭볶음면을 먹는 외국 유튜버들이 종종 눈에 띈다. 약 9년 전부터 시작된 ‘불닭 챌린지’가 지금도 외국인들 사이에 유행할 정도로 한국 라면이 해외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것이다.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라면 수출액은 전년 대비 24.4% 증가한 9억5243만 달러(약 1조2800억 원)에 이른다. 10년 전인 2014년에 비해 무려 4.6배 늘어난 역대 최고치다. 한국 라면의 수출량이 이처럼 크게 증가한 이유는 뭘까?먼저 한국 음식의 매운맛이 영향을 미쳤다. 불닭볶음면과 신라면은 한국 특유의 매운맛에 초점을 두고 출시한 라면이다. 맵지만 속을 시원하게 해주는 맛에 외국인도 빠져든 것이다. 다양한 매체에서 시작된 ‘챌린지’나 ‘리뷰’ 영상도 한국 라면 수출에 크게 기여했다. 유튜브에서 한국 라면을 먹는 영상을 조금만 찾아봐도 다수의 영상이 조회 수 몇백 만 회를 기록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들이 한류의 확산 또한 K-라면에 대한 관심을 높였다. 외국인들은 우리나라의 영화나 드라마를 시청하며 한국 라면을 접할 수 있다. K-팝 멤버들이 라면을 먹는 장면만으로도 해외 라면 수출량이 증가했다.한국 라면의 인기는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에서는 우리나라 라면을 맛볼 수 있는 ‘라면 라이브러리’가 문을 열었다. K-라면은 한국 음식뿐 아니라 전 세계에 우리나라를 널리 알리고 있다. 작은 음식 문화가 한 나라의 산업과 경제에도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는 점과 더불어 소프트파워의 중요성도 깨닫게 된다.정교빈 생글기자 (공주사대부고 1학년)
-
숫자로 읽는 세상
밀가격 50% 떨어졌다지만…라면값 인하 놓고 정부-업계 '신경전'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8일 “국제 밀 시세에 맞춰 라면값을 적정하게 내릴 필요가 있다”며 압박에 나서자 라면 제조사들이 즉각 가격 인하 검토에 들어갔다. 라면업계는 이명박 정부 시절이던 2010년 제품 가격을 인하한 뒤 지금까지 한 번도 가격을 내린 적이 없다. 추 부총리는 이날 KBS ‘일요진단’에 출연해 “지난해 (라면값이) 많이 인상됐는데, 현재 국제 밀 가격은 그때보다 50% 안팎 떨어졌다”며 “이에 맞춰 기업들이 적정하게 (라면) 가격을 내리든지 대응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농심, 오뚜기 등 라면 제조사들은 작년 9~11월 원가 상승을 이유로 라면 판매 가격을 9.7~11.3% 올렸다. 밀 수입 가격은 작년 9월 사상 최고치인 t당 496달러에서 지난 2월 449달러까지 떨어졌지만, 평년 평균치(283달러)에 비해선 1.6배 높은 수준이다. 추 부총리는 “라면 같은 품목의 가격은 시장에서 업체와 소비자가 결정해 나가는 것이라 정부가 개입해 가격을 통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전제했다. 그러나 “소비자단체가 적극적으로 견제하고, 가격 조사도 하는 등 압력을 행사하면 좋겠다”고 말해 식품업계에선 사실상 강력한 가격 인하 신호를 준 것으로 해석했다. 이에 따라 라면 제조사들은 라면값 인하 검토에 나섰다. 식품업계에선 이명박 정부 당시의 선례를 봤을 때 라면업체들이 가격을 내릴 공산이 크다고 보고 있다.정부가 라면을 콕 찍은 이유추 부총리가 라면을 콕 찍어 가격 인하를 사실상 압박하고 나선 데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전반적으로 둔화하고 있지만 라면을 비롯한 주요 먹거리 물가는 두 자릿수로 치솟아 국민들이 이를 체감하지 못하는 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
-
김동욱 기자의 세계사 속 경제사
면은 어떻게 세계의 식단으로 자리잡았을까
국수는 누구나 좋아한다. 밥보다 면을 더 선호하는 사람도 있다. 한국인이 먹는 짜장면은 하루 150만 그릇으로 추정된다. 또 세계라면협회의 통계에 따르면 한국인은 라면을 연간 38억 개, 1인당 76개를 먹는다. 연간 소비량은 7위지만, 1인당 소비량은 2위 베트남의 52개를 앞서 단연 1위다. 한국인만 그런 것도 아니다. 면 요리는 아시아와 이탈리아를 넘어 세계인의 주요 식단으로 자리잡았다.국수는 한자로 면(麵), 영어는 누들(noodle)이다. ‘noodle’은 독일어로 국수를 뜻하는 누델(nudel)에서 왔다는 설과 라틴어로 매듭을 가리키는 노두스(nodus)가 어원이라는 설이 있다. 로마시대의 유적에서 파스타를 만드는 도구가 발견된 것을 보면 후자가 더 설득력 있어 보인다. 누들로드 위의 밀과 국수국수는 쌀 메밀 등으로 만들지만 주원료는 밀이다. 밀은 BC 7000년께 메소포타미아의 ‘비옥한 초승달’ 지역에서 처음 재배됐다. 이 지역에서 사용한 맷돌이 유물로 남아있다. 밀은 쌀과 달리 6~7겹의 질긴 껍질을 벗기고 빻아 밀가루를 채취하기까지 상당한 기술과 노동력이 필요하다. 반면 기온과 습도가 높은 아시아에서는 밀 대신 쌀을 주로 재배했다. 쌀은 노동집약적이면서 밀보다 산출량이 많아 더 많은 인구를 부양할 수 있다.밀은 중앙아시아를 거쳐 BC 5000년께 중국으로 전래됐다. 황하유역은 기후가 서늘하고 건조해 밀 재배에 적합했다. 국수도 밀과 함께 중앙아시아를 거쳐 중국에서 번성했다. 거꾸로 중국의 국수 문화가 중동과 유럽에 전파됐다는 주장도 있다. 황하 상류의 라지아 지방에서 BC 2000년께로 추정되는 가장 오래된 국수의 흔적이 발견돼 중국 기원설의 증거로 제시됐다. 그러나 국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