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커버스토리

    청년 일자리는 왜 안늘어나나

    문재인 정부는 지난해 5월 출범하면서 ‘일자리 창출’을 핵심 과제로 제시했다. 일자리를 늘려 소득을 증가시키면 소비가 확대되고, 이는 기업의 투자 증가로 이어져 다시 일자리가 늘어나는 선순환이 이뤄질 것으로 봤다.그러나 이 선순환의 첫 단추인 일자리 창출이 쉽지 않다. 지난 2월 취업자 수는 2608만3000명으로, 1년 전인 작년 2월보다 10만4000명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 같은 취업자 수 증가폭은 세계 금융위기 여파가 이어지던 2010년 1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취업자가 10만 명 넘게 늘었잖아’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이 기간에 늘어난 인구를 감안해야 한다. 경제활동을 할 수 있는 15세 이상 인구는 지난 1년간 27만5000명 늘어났다. 보통 1년 전과 비교한 취업자 증가 규모가 30만 명가량은 돼야 ‘일자리 사정이 괜찮다’는 평가를 받는다.15~29세 청년층의 고용 사정은 더 나쁘다. 2월 청년 실업률은 9.8%에 달한다. 청년 10명 중 1명은 실업자라는 의미다. 전체 실업률이 4.6%인 점과 비교하면 청년 실업률이 얼마나 높은지 쉽게 알 수 있다.정부는 얼마 전 ‘특단의 청년 일자리 대책’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국민으로부터 걷은 세금으로 중소기업에 취업하는 청년의 실질 연봉을 3년간 연 1000만원 정도씩 늘리겠다는 게 핵심이다. 중소기업에 비어 있는 일자리가 20만 개에 달하지만 연봉이 낮아 청년들이 외면하는 현실을 개선하려는 취지다.하지만 이번 대책은 청년 일자리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엔 역부족이라는 평가가 많다. 최저임금 인상, 겹겹이 쌓인 규제 등으로 기업의 경영 부담이 커진 상황에서 기업들이 선뜻 일자리를 늘릴지 불확실하기 때문이다. 일자리 문

  • 커버스토리

    정부가 막대한 예산 쏟아부어도 청년 일자리는 막막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해 5월 취임 후 청와대 집무실에 ‘일자리 상황판’을 설치하고 고용 상황을 직접 챙기기 시작했다. 정부는 곧바로 11조원에 달하는 추가 예산(추가경정예산·줄여서 추경이라고 한다)을 편성해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일자리 만들기에 나섰다. 추가경정예산은 재난이나 대량실업 등 예상치 못한 일이 벌어졌을 때 추가로 돈을 쓰기 위해 정부가 짜는 예산이다.그러나 대규모 추경 편성 같은 노력이 무색하게 일자리 사정은 갈수록 나빠지고 있다. 취업자 증가폭은 줄어들고, 청년 실업률은 높아졌다. 이에 따라 정부는 지난 15일 4조원가량의 추가 예산을 투입하는 청년 일자리 대책을 발표했다. 세금으로 중소기업에 취업하는 청년들의 실질 연봉을 3년간 연 1000만원가량 높여주겠다는 대책이다. 이번 대책은 성공할 수 있을까.최악으로 치닫는 고용 상황통계청이 발표한 ‘2월 고용동향’을 보면 매월 30만 명 안팎을 유지하던 취업자 증가폭이 지난달 10만 명대(작년 2월보다 10만4000명 증가)로 떨어졌다.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가 이어지던 2010년 1월 이후 8년1개월 만의 최저 수준이다.최저임금 인상의 영향이 큰 업종에서 취업자가 유독 많이 줄었다. 도·소매업종 취업자는 지난달 9만2000명 줄어 감소폭이 가장 컸다. 아파트 경비원, 청소원 등이 포함된 사업시설관리·지원업종 취업자도 3만1000명 줄었다. 숙박·음식점업 취업자는 2만2000명 감소했다. 이들 세 개 업종에서만 지난달 14만5000개의 일자리가 날아갔다. 전문가들은 올해 최저임금이 역대 가장 큰 폭(16.4%)으로 인상되면서 인건비 부담이 늘어난 사업주가 고용을 줄인 것으로 보고 있다.청년층(15~29세)

  • 커버스토리

    일자리 만드는 것은 기업

    정부가 어느 때보다 일자리를 강조하고 수시로 일자리 대책을 내놓는데도 취업난이 계속되는 이유는 뭘까. 경제성장률이 떨어지면서 예전처럼 일자리가 빨리 늘어나지 않는 측면이 있다. 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각종 규제가 기업의 투자를 가로막는다는 지적도 있다. 기업들이 생각하는 일자리 해법은 뭘까.채용 꺼리는 기업들기업의 채용 규모는 갈수록 줄어들 전망이다. 한국경제연구원이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매출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올 상반기 신규 채용 계획을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 182개사 중 80개사(44%)가 “신규채용 계획을 수립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신규채용을 작년보다 늘리겠다”고 한 기업은 16개사(8.8%)에 불과했다. 기업들은 채용을 늘리지 못하는 이유로 △어려운 회사 내부 사정(25.9%) △국내외 경제·업황 악화(20.0%) △신입사원 인력 유출 감소(15.8%) △통상임금, 최저임금 인상 등 인건비 부담 증가(14.2%)를 주로 꼽았다.최저임금은 올해 1월부터 작년보다 16.4% 인상됐고, 오는 7월부터 종업원 300인 이상 기업은 주당 최대 근로시간을 68시간에서 52시간으로 줄여야 한다. 근무시간이 줄어드는 만큼 직장인들은 과거보다 ‘일과 삶의 균형’을 추구할 수 있게 됐다. 하지만 정작 일자리를 만드는 기업에 대한 지원 방안은 별로 보이지 않는다. 근로시간이 단축되면 기업은 더 많은 인력을 채용해야 한다. 하지만 각종 규제와 비용 상승 요건 때문에 일자리를 늘리기가 쉽지 않다.기업들은 정규직 위주의 경직된 노동 시장을 개혁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한 번 직원을 뽑으면 아무리 성과가 나빠도 해고하기 어려운 경직된 노동구조에선 기업들이 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