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커버스토리

    진단키트· 의료장비 줄잇는 주문…세계는 'K바이오 신드롬'

    지난달 세계적 록밴드 U2의 리더 보노가 문재인 대통령에게 서한을 보냈다. 록밴드 가수가 대통령에게 불쑥 서한을 보낸 이유는 “한국산 의료장비를 지원해달라”고 요청하기 위해서였다. 보노는 서한에서 “아일랜드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걷잡을 수 없이 늘고 있다”며 “한국에서 생산되거나 재고가 있는 장비, 진단키트가 있다면 직접 구입해 아일랜드에 기증하고 싶다”고 밝혔다.의료 일선에선 코로나19를 계기로 한국 의료 시스템을 도입한 나라도 많다. 미국 하버드대 부속 매사추세츠종합병원(MGH)은 지난달 ‘한국형 워크스루검사실’을 도입했다. 이곳에 코로나19 의심환자가 오면 장갑이 달린 유리벽 반대편에서 의료진이 검체를 채취한다. 기존에 20분이 걸리던 검체 채취 시간은 4분으로 줄었다. 에이치플러스양지병원이 지난 3월 선보인 워크스루검사실을 미국 대형병원에서 도입한 것이다. 진단키트뿐만이 아니라 의료장비, 의약품 원료 등도 마찬가지다. 한국 제품을 경쟁적으로 찾는 ‘K바이오 신드롬’이 시작됐다.진단키트 한 달 만에 ‘2억달러’ 수출해외에서 가장 먼저 주목받은 한국 업체는 진단키트를 생산하는 기업들이다. 진단키트는 코로나19 등 특정 전염병에 감염됐는지를 확인하는 데 쓰이는 진단용 도구다. 진단키트를 공급해달라고 한국에 요청한 국가는 80여 개국에 달한다. 루마니아는 두 차례 진단키트와 방호복을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수송기로 공수해 갔다. 체코는 외교부 장관이 나서서 한국의 진단키트 수출에 감사의 뜻을 나타내기도 했다.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1월 3000달러 수준에 불과했던 진

  • 커버스토리

    글로벌 기업들, 신성장 분야로 바이오헬스산업 중점 육성

    세계 각국은 바이오헬스산업을 신성장 분야로 중점 육성하고 있다. 바이오헬스는 기술집약적인 데다 대규모 산업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특정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신약 개발에 성공하면 오랜 기간 시장 주도권을 잡을 수 있다. 각국 정부가 자국의 바이오헬스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책을 내놓고 있어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시장이 2022년이면 350조원에 달할 것이란 게 업계 전망이다.국가별 바이오산업 육성책 쏟아져미국은 2012년 국가 바이오경제 청사진을 발표하면서 연구개발(R&D) 분야 투자, 중개 과학, 사회대응형 과학 지원을 강화했다. 미 국립보건원(NIH) 예산은 2015년 295억달러(약 35조2600억원)에서 올해 338억달러로 늘었다. 예산의 80%는 대학, 병원 등 외부 연구자에게 집중 지원됐다. 정부 차원에서 2022년까지 미국인 유전자 100만 개를 확보해 분석하겠다는 계획도 내놨다.일본은 2015년 의료 분야 R&D 사령탑인 일본의료연구개발기구(AMED)를 설립했다. 올해에만 예산 1515억엔(약 1조6500억원)을 편성했다. AMED는 바이오 R&D를 위한 추진 계획을 수립하고 관련 예산 배분 기능도 맡고 있다. 일본은 AMED의 지휘 아래 의약품·의료기기 개발, 임상연구, 재생의료 및 유전자 치료 등 9대 주요 분야에 중점 투자한다는 방침을 세웠다.바이오헬스 분야에서 유럽연합(EU) 성장세도 괄목할 만하다. 덴마크는 유럽에서 손꼽히는 건강 국가지만 고령화 및 비만에 따른 만성질환 문제로 제약산업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피부질환 부문의 글로벌 강자인 레오파마, 당뇨병 치료 선도기업 노보노디스크 등이 벨기에에서 탄생했다. 2017년 기준으로 글로벌 제약사 15개를 포함해 200여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