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화
-
역사 기타
바다를 지배하는 자가 세계를 지배했다
세계를 호령한 로마도 시작은 미약했다. BC 8세기 티베르 강변의 작은 도시국가로 출발해 2세기 거대 제국을 이루기까지 1000년간 악전고투의 연속이었다. 가장 취약했던 것이 바다였다. 카르타고와 일전을 벌인 1차 포에니전쟁 전까지 로마는 놀랍게도 대형 전함이 한 척도 없었다. 이탈리아반도를 통일하는 동안에는 바다로 나갈 일이 없었기 때문이다. 기껏 강에서 쓰는 소형 전함 20~30척이 전부였다. 그런 로마가 대형 전함이 절실해진 건 바다로 눈을 돌리면서부터다.로마의 첫 타깃은 당시 서지중해의 강자 카르타고가 장악한 시칠리아섬이었다. 로마는 대형 전함 100척 규모의 함대를 계획했지만 건조 기술도 해전의 노하우도 없었다. 그런데 운이 따랐는지 BC 260년 로마로 표류해온 카르타고의 5단 갤리선을 나포해 이 배를 본떠 두 달 만에 갤리선 100척을 만들었다. 로마의 탁월한 모방 능력 덕이었다.물론 배 모양은 형편없었고, 노 젓는 기술부터 배워야 했다. 해전 경험이 없던 로마 함대는 카르타고와의 첫 해전에서 비참하게 깨졌다. 심지어 사령관까지 포로로 잡혔다. 카르타고의 빠른 갤리선은 로마 갤리선에 바짝 붙어 지나갔다. 카르타고는 그렇게 로마 갤리선의 노를 부러뜨린 뒤 움직일 수 없게 만들고 옆구리를 들이받아 침몰시키는 전법을 썼다.초기에 로마는 카르타고에 밀렸다. 그러나 로마인은 창의성과 실용성이 남다른 민족이었다. 정상 해전으로는 승산이 없다고 보고 코르부스를 개발했다. 코르부스는 끝에 날카로운 송곳이 달린 긴 나무판자로 일종의 잔교(다리 모양의 구조물)였다. 로마군은 카르타고 갤리선 갑판에 코르부스를 내려박아 자신들의 배와 고정시킨 뒤 정예병이 이를 다
-
경제 기타
정화의 해외원정
대항해 시대 바닷길을 통한 해외 개척은 흔히 유럽의 전유물로 알려져 있다. 유럽의 서 쪽 끝자락에 있어 비단길은커녕 지중해 무역에서 소외돼 있었던 스페인과 포르투갈 이 새로운 바닷길 개척에 나섰기 때문이다. 바르톨로메우 디아스의 아프리카 희망봉 발견, 바스쿠 다가마의 인도 항로 발견, 마젤란의 세계 일주가 그것이다.일곱 차례 대원정 떠난 정화하지만 이는 완전한 사실은 아니다. 동양에서도 바다를 통한 해외 원정에 나선 전력이 있기 때문이다. 명나라 대도독 정화의 원정이었다. 정화는 영락제의 명을 받아 1405년부터 1431년까지 총 일곱 차례에 걸쳐 대원정을 떠난 것으로 유명하다. 서양 방문 해상사절단의 총사령관으로서 그는 수십 척의 배에 수만 명의 인원을 거느리고 원정에 나섰다. 그의 선단은 동남아시아, 인도, 페르시아만, 아라비아 반도를 거쳐 아프리카 동부 해안까지 나아갔다. 이때 각국의 외교사절단을 중국으로 데려와 경제, 문화적 교류를 촉진했다고 한다. 정화의 원정은 콜럼버스의 아메리카 탐험보다 70여 년이나 앞선 것이었다. 정화의 원정에서 사용된 배도 콜럼버스의 것보다 무려 30배나 큰 것이었다고 한다.하지만 정화의 원정은 콜럼버스에 비해 거의 아무런 역사적 반향을 남기지 못했다. 여기에는 그럴 만한 사정이 있다. 정화의 원정은 중화사상과 명나라 황제의 위신을 세계만방에 떨치기 위해 기획된 고도의 정치적 행사였던 것이다. 정화의 원정대는 서유럽의 탐험가들처럼 이윤을 목적으로 움직이지 않았다.공무원 정화·사업가 콜럼버스정화가 수행한 교역은 국가 주도의 조공 무역이 대부분이어서 원정 참여자들이 더 적극적으로 먼 곳으로 나아갈 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