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테샛 공부합시다
유럽을 알려면 EU의 역사를 알아야죠…'유로존'의 이론적 기반은 '최적통화지역이론'이죠
유럽연합(EU)이 지난달 28일 브렉시트(영국의 EU 탈퇴) 시한을 내년 1월 31일까지 3개월 연장하는 데 합의했다. 영국과 EU가 합의한 브렉시트 안에 대해 영국 하원이 반대하면서 유럽연합이 이에 대응한 것이다. 브렉시트로 인해 EU의 단결력에 문제가 생기는 모양새다. EU가 무엇이기에 영국은 찬·반 양측이 첨예하게 대립하면서도 유럽공동체를 탈퇴하려고 하는 것일까? 유럽연합의 결성 유럽의 역사를 살펴보면 EU가 왜 결성됐는지...
-
테샛 공부합시다
수요곡선
문제. 다음 중 수요곡선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하나는? ① 대체재 공급 증가 ② 미래 가격 상승 예상 ③ 소비자 수 증가 ④ 보완재 생산기술 발전 ⑤ 재화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 증가 해설. 수요곡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양하다. 소득 수준, 다른 재화(대체재 혹은 보완재)의 가격, 광고, 인구수, 소비자의 선호 등이 있다. 대체재 공급 증가는 대체재 가격 하락을 이끌어 대체재 수요가 증가하면서 해당 재화의 수요 감소를 이끈다...
-
진로 길잡이 기타
도표작성능력은 정보의 재구성·변환능력을 평가…표와 그래프를 확인·탐색·판단해서 풀어야 해요
1. 도표작성능력이란? 수리 능력 중 도표작성 능력은 수집된 자료를 필요한 정보로 재구성하거나 자료의 형태를 변환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수리능력에서 도표작성능력이 차지하는 비중은 크지 않지만, 실제로 시험장에서 마주하는 경우 까다로운 형태로 출제돼 시간을 많이 소비하게 되므로 미리 기본적인 풀이 방향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 대표적인 출제 유형으로는 <표>를 <그래프>로 변환하는 유형, <표>의 특정 부분을 또 ...
-
생글기자
자사고·특목고 폐지는 교육평등을 위한 정책이 아니다
교육부가 2025년부터 전국에 있는 총 79개의 자사고·외고·국제고를 일괄 폐지하고, 전국 단위 전형 49개의 일반고를 지역 모집으로 전환한다. 교육부 장관은 고교 진학부터 대학 입시까지의 불공정성을 없애기 위해 복잡한 고교체계를 단순히 바꾸겠다는 의견을 밝혔다. 그러나 자사고·특목고 폐지는 고등교육을 하향 평준화시킨다. 자사고 및 특목고는 우수한 인재를 육성해 국가 경쟁력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설립됐다. ...
-
생글기자
수학과 과학, 이제는 재미있게 공부하자
“수학이랑 과학이 어떻게 재미있을 수가 있지?” 교과 과정의 수학이나 과학을 학습하면서 한 번쯤은 생각해 보았을 말이다. 재미있고 즐거운 과정이라고 부르기엔 복잡하고 어려운 수학과 과학을 어떻게 재미있게 할 수 있을까? 지난 10월 25일, 이러한 질문에 해결책을 제시해 줄 신일 무한상상 수학 과학 체험전이 열렸다. 대전 신일여자고등학교에서 주최한 본 행사는 문제 풀이에 지친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학과 과학에 관련한 흥미...
-
생글기자
한국과 수교 30년, 폴란드의 역사를 되새겨보자
11월 11일은 어떤 날일까? 많은 사람들은 빼빼로데이, 가래떡데이, 농업인의 날을 떠올릴 것이다. 앞에 ‘역사적으로’라는 말을 넣어 보자. 새롭게 넣어 보면 제1차 세계대전 종전기념일, 폴란드 독립기념일이다. 이날은 바이마르공화국이 연합국과 베르사유 조약을 맺어 전쟁이 종결된 날이다. 이로 인해 민족자결주의로 패전국 3국(독일, 오스트리아, 러시아)의 식민지였던 폴란드가 독립했다. 폴란드는 한국인들이 보기에는 낯선 나라...
-
생글기자
AI 시대에 더 요구되는 과학자의 윤리의식
과학자에게 윤리의식은 어느 정도 필요할까? 인공지능(AI)의 장점을 이용한 기발한 상품들이 본격적인 시장 출시를 예고하면서 과학자의 윤리에 대한 논쟁이 화두가 되고 있다. 지난달 30일 KT는 기자간담회를 열고 4개 지능 영역에서 20여 개 AI 원천기술을 공개하며 통신사를 뛰어넘어 AI 전문기업으로서의 변신을 선언했다. 4개 지능 영역은 △감성·언어 지능 △영상·행동 지능 △분석·판단 지능 △예측&mid...
-
생글기자
다양성을 인정하는 교육적 자세가 필요하다
‘한국 교육방식 특징: 학생=언어능력과 계산 능력, 각종 과학 분야, 예술에 뛰어난 능력을 보이며 기본 3개 국어에 역사를 꿰뚫고 있어야 하고 이 모든 걸 잘하면서도 체육까지 완벽해야 한다.’ 한 SNS의 학생 관련 페이지에 올라온 짧은 글이다. 학생들은 공부를 비롯한 예체능 등 모든 게 완벽해야 한다는 고정관념, 강박관념에 몰아넣은 한국의 교육방식을 풍자한 것이다. 학생들은 학교에서 공부를 해야 하는 이유를 배운다. 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