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디지털 이코노미

    사람들은 왜 '덜 편한' 쿼티 자판을 쓸까

    널리 알려진 혁신적인 아이디어는 많지만, 실제로 받아들여지는 사례는 많지 않다. 쿼티 키보드가 대표적이다. 1936년에 설계된 드보락 자판은 전체 키 중 70%가 자판의 중앙에 위치해 쿼티 자판보다 훨씬 수월하게 타이핑 할 수 있다. 드보락 자판의 우수함은 여러 차례 증명되었지만, 대부분의 사람은 쿼티 자판을 사용한다. 비디오카세트도 마찬가지다. 베타맥스 방식이 VHS보다 설계가 뛰어나고 가성비가 좋다는 점은 많은 사람이 인식했었지만, 시장을 장악한 것은 VHS였다. 혁신 수용의 어려움새로운 제품과 개념은 아무리 잘 포장되더라도 사회구성원이 가진 기존의 믿음과 사회 규범과 충돌할 때 쉽게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성능이 우수하고, 가성비마저 좋은 제품이 시장에서 선택되지 못하는 경우도 이에 속한다. 대부분의 기업은 더 사용하기 쉽고, 더 눈길을 끌면서도 값싼 제품을 만들어내지만 실패는 계속된다. 시장은 더 우수한 제품보다 익숙한 제품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정책도 유사하다. 1960년대에 발생했던 인구변천 과정에서 등장한 산아제한은 당시의 사회적 규범과는 정면으로 배치되는 정책이었다. 당시의 한국 문화는 많은 자녀를 낳아 키워야 한다는 전통적인 믿음에 깊이 뿌리 박혀 있었던 탓이다. 높은 출산율은 사회적 지위와 개인의 성취를 보여주는 지표였다. 이런 상황에서 산아제한정책은 정착되기가 어려웠다. 물론 많은 자녀에 대한 전통적인 믿음은 선진국에도 존재했다. 차이점은 그들은 우리나라처럼 급격한 경제성장을 경험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가족계획에 대한 생각을 발전시키기까지 몇 세대의 여유가 있었던 것이다. 의학과 식량 생산이 점진적으로 발전하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