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생글기자

    청소년 "행복하지 않다"…한국 교육 현실, 정상 아니다

    우리나라 아동·청소년의 87%가 수면과 공부에 너무 적거나 많은 시간을 써 행복하지 않은 삶을 산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초록우산어린이재단이 지난해 11~12월 초등 고학년부터 고교 2학년생까지 2231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시행한 ‘2023 아동행복지수’ 조사에 따른 것이다. 이 조사에선 전체의 86.9%인 1940명의 행복지수가 ‘하(下)’로 집계됐다. 아동행복지수란 수면·공부·미디어·운동 등 네 가지 영역의 활동시간과 권장시간을 비교해 일상생활의 균형 정도를 산출한 것이다. 올해 아동행복지수는 4점 만점에 1.66점으로, 극히 낮은 수준이다. 2021년(1.68점), 2022년(1.70점)에 비해 더 열악해졌다. 수면시간이 부족한 아동·청소년이 2021년에 비해 10.4%포인트 늘었고, 적정 기준보다 공부시간이 많은 경우도 14.5%포인트 증가했다. 또 우울·불안과 충동적 극단선택 생각, 보호자의 방임·정서 학대는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개인적인 경험으로도 충분히 예상할 수 있었다. 과도한 성적 고민, ‘학교-학원-학교’로 쳇바퀴 도는 일상, 부모님의 큰 기대와 공부 강요 등으로 중학생들조차 여가생활을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하거나 정서적 안정을 찾기가 쉽지 않다. 청소년기는 몸과 마음이 건강하게 자라야 하는 시기다. 행복하지 않다는 청소년이 늘고, 극단적 선택을 하는 사례가 빈번해지면 나라의 미래도 어두워질 것이다. 학생, 학부모, 학교가 모두 한마음으로 청소년의 수면, 휴식, 여가생활, 정서적 안정을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때다. 진찬호 생글기자(금오중 3학년)

  • 강홍민 기자의 직업의 세계

    "꽃으로 행복을 만들어 가요" 플로리스트 박정연

    "동화 속 한 장면 같은 꽃으로 꾸민 마을 만들고 싶어요"“꽃 작업을 할 땐 정말 기분이 좋아져요. 행복해진다랄까.(웃음) 무엇보다 제가 만든 꽃을 받는 분들도 행복해 하시는 게 좋아요. 최고의 직업이죠.”고등학생 때 우연히 엄마 친구를 따라간 꽃집에서 운명이 바뀌었다. 1년 중 어버이날 말고는 꽃을 산 일이 없던 그녀가 이제는 꽃 없는 인생은 상상조차 할 수 없게 됐다고 자신을 소개했다. 플로리스트 박정연 씨(21)의 이야기다. 아직 플로리스트로서 경력은 짧지만 꽃에 대한 열정만큼은 누구보다도 뜨거운 박 씨에게서 플로리스트의 세계를 들어봤다.△박정연 플로리스트소속 : 네이처랩스계원예대 화훼디자인과 졸업(2021년 2월)신라호텔, 인천파라다이스호텔 플라워팀 근무▶플로리스트는 어떤 직업인지 소개해 달라.“세상에 무수히 많은 꽃으로 작품을 만드는 직업이다.”▶꽃을 처음 접한 시기, 그리고 계기는 무엇이었나.“꽃을 처음 접한 건 고등학교 때다. 엄마 친구 분께서 플로리스트였는데, 제가 일을 도우면서 배웠다. 그 분께서 꽃집을 운영하셨는데, 작업이 있을 때마다 저를 데리고 다니시면서 가르쳐 주셨다.”▶주로 어떤 작업이었나.“돌잔치나 결혼식이었다. 사실 고등학교 때 미술을 좋아하긴 했지만 딱히 꿈이 없었다. 엄마 친구 분이 할 일 없을 때 나와서 일을 도와달라고 하셔서 자연스레 꽃을 접하게 됐는데, 너무 재미있고 행복했다. 그런 계기로 대학도 화훼디자인과로 진학했다.”▶꽃에는 어떤 매력이 있었나.“처음엔 꽃이 내 인생과 별로 상관없다고 생각했다. 대부분 그렇듯 어버이날 카네이션 사는 게 전부였으니까. 그러다 꽃을

  • 생글기자

    행복은 스트레스 동반될 때 더 크게 느껴진대요

    문요한 정신과 전문의의 ‘스스로 행복을 허락하라’란 주제 강연을 들었다. 쉬운 주제 같으면서도 중·고등학생들에게는 와닿지 않는 말이란 생각이 들었다. 필자 또한 수능을 앞둔 고등학생으로서 ‘달콤한 독’이 아닐까라고 생각한다.행복은 지금 이 순간에 있다고 얘기한다. 하지만 정작 이 순간을 사는 나 자신도 지금이 행복한 순간인지 모른다. 학교에 가면 모의고사, 중간고사, 기말고사, 수행평가들이 우리를 숨이 막히게 하고 있어서다. 강연자는 1부터 10까지 점수를 낼 때 나는 어느 정도의 행복을 느끼는지 물었다. ‘1점이면 불행하다, 5점은 행복하지도 불행하지도 않다, 10점은 행복하다’였다.필자는 행복하지도 불행하지도 않다고 생각한다. 고등학생이라면 누구나 경험해야 하는 지옥에 들어온 것이기도 하고, 나 혼자 이 상황을 헤쳐나가는 것이 아니라 친구들과 함께 극복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물론 생각이 다 같은 것은 아니다. 하지만 혼자서 하는 막막함보다는 함께 해결해나간다고 생각하면 내가 불행하다는 생각을 떨칠 수 있다. 강연자는 “행복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행복해지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행복을 허락할 때 비로소 나에게 행복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만약 자신을 스스로 채찍질하며 달려왔다면 잠시 멈춰서 나에게 작은 행복을 허락해주면 좋겠다.과학적 관점으로 살펴보자. 인간의 중간뇌는 동기와 감정을 느끼는데, 이곳에서 불행과 행복을 느끼게 된다고 한다. 그중 한 부분이 활성화되면 도파민이라는 물질이 분비되면서 즐거워지고, 스트레스를 느끼는 부위가 활성화되면 코르티솔 같은 스트레스 호르몬이 분비되면서 불

  • 생글기자

    '그 후로 행복하게'는 계속되어야 한다

    어린 시절 읽었던 거의 모든 동화책의 끝맺음 말인 “그 후로 행복하게 살았다”는 문구는 은연중 끝이 좋으면 그 후는 다 좋을 거라는 인상을 남겨 주인공을 향한 우리의 관심을 거두어 갔던 것 같다. 뜬금없이 동화책 이야기를 한 것은 학대나 가정폭력에서 구조된 아이들이 ‘그 후로 행복하게’의 삶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사회의 지속적인 관심과 보살핌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하기 위함이다.최근 들어 친부모나 계부, 계모로부터 신체적, 정서적 학대를 받다 목숨을 잃거나 극적으로 탈출한 아이들에 관한 뉴스를 자주 접한다. 아동학대는 나날이 늘어 2015년 1만1715건에서 2018년에는 2만4604건으로 2배가 됐다. 코로나 19로 아동과 청소년이 가정에서 보내는 시간이 늘어난 상황에서 가정에서의 학대와 폭력이 밖으로 드러나지 않는 경우가 많아 그 어느 때보다 주변의 관심이 필요해지고 있다. 학대나 가정폭력 상황에서 구조된 아이들은 피해 아동 쉼터로 보내져 학대 트라우마 치료와 병원 치료를 받은 뒤 상황에 따라 원래 가정으로 돌아가거나 가정위탁, 일반 공동생활가정 등으로 보내지고 이때 피해 아동의 80% 이상이 ‘원가정 보호 지속’ 조치를 받는다.가해 부모가 있는 가정에 피해 아동을 돌려보내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발생하는 것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아동을 가정에서 분리해 보호할 경우 신속히 가정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는 아동복지법 제4조 3항의 ‘원가정 보호 원칙’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학대 아동에게서 나타나는 스톡홀름 증후군, 외부 세계에 대한 불안감과 부모의 사랑에 대한 갈망 등이 피해 아동이 가해 부모에게서 분리되는 것을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