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생글기자

    세종대왕의 걸작 '한글'이 위대한 이유

    지난 9일 한글날을 보내며 한글의 위대함을 다시 한번 생각해봤다.훈민정음은 1446년에 반포된 조선의 문자다. 훗날 일제강점기에 한글학자 주시경 선생이 ‘한글’이라는 이름으로 문법을 비롯한 전반적인 부분을 정리했다. 한글은 과학적이면서도 실용성을 극대화한 문자다. 한글의 전신인 훈민정음은 중국의 한자로는 소통이 원활하지 못한 백성들을 위해 누구나 배우고 쓰기 쉽게 만들었다. 컴퓨터가 일상화된 지금도 한글은 사용하기에 매우 효율적이다. 컴퓨터로 글자를 입력할 때 로마자로의 변환 과정을 거쳐야 하는 중국어와 달리 한글은 문자 하나가 하나의 소릿값을 지니고 있어 사용이 쉽고 빠르다.한글은 실용적일 뿐만 아니라 세계 각지 전문가들이 그 과학성을 인정한 문자다. 한글은 자음 17자 모음 11자 음운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자음과 모음에는 3가지 창제원리가 적용되었다. 자음은 기본자, 가획자, 이체자로 나뉜다. 기본자는 조음위치의 모양을 본뜬 ‘상형’의 원리, 가획자는 기본자에서 획을 추가한 ‘가획’의 원리, 이체자는 조음위치는 같지만 소리가 달라 다른 필체로 필기하기에 이체자라 명시한다.모음의 기본자는 자음의 기본자와 같이 천지인(하늘, 땅, 사람)의 모양을 본뜬 상형의 원리로 만들어졌다. 모음자는 상형의 원리로 만든 기본자를 합해 만드는 원리인 ‘합용’의 원리로 만든 재출자와 초출자가 있다. 이외에도 자음에는 초출자와 초출자, 재출자와 재출자, 초출자와 ‘ㅣ’ , 재출자와 ‘ㅣ’를 합쳐서 더 많은 자음을 만드는 ‘합자’의 원리도 적용되었다.한글은 문자 하나하나가 하나의 낱소리를 가지는 음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