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숫자로 읽는 세상

    "신입생 수업료 절반으로 깎아준다"…파격 조건 내건 대학교

    부산에 있는 신라대는 수시전형으로 입학할 2021학년도 신입생 중 최초합격자 전원에게 수업료를 반액 이상 면제해주기로 했다. 파격적인 조건이다. 광주 호남대는 신입생에게 아이폰을 준다고 홍보했다. 갈수록 신입생이 줄면서 정원 미달 사태를 막기 위해 지방대학들이 내놓은 고육지책 중 하나다.학령인구 급감과 수도권 대학 선호 현상이 맞물리면서 지방대학이 생존 위기에 내몰리고 있다. 입학 정원을 전체적으로 축소 조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지만, 한번 줄면 다시 늘리기가 어려운 대학들은 ‘눈치보기’만 하는 실정이다.지난 15일 김병욱 국민의힘 의원이 각 지방거점국립대에서 받아 공개한 등록포기 현황에 따르면 경북대는 2020학년도 합격자 중 3781명이 등록을 포기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모집 인원(4937명)의 76.5%다. 경북대에 합격한 학생 4명 중 3명은 경북대가 아니라 다른 학교를 선택했다는 얘기다. 다른 지방거점대도 상황은 비슷하다. 전남대는 2020학년도 등록포기 인원이 4550명으로 모집 인원(4219명)보다 더 많다. 최초합격자 전원이 등록을 포기했다는 의미다.지방거점대에 입학한 뒤에도 학생들의 이탈은 계속됐다. 김 의원이 교육부에서 받은 ‘지방거점대학 자퇴자 현황’에 따르면 강원대는 지난 9월 30일 기준으로 올해 753명(재적 인원의 3.6%)이 자퇴했다. 이 중 절반가량이 진학(138명)과 편입학(227명) 때문이라고 답했다. 2019년 기준 경북대는 796명(재적 인원의 3.6%), 부산대는 631명(3.3%)이 학교를 그만뒀다. 경북·부산·전남대 등 지방거점대의 자퇴율은 지난해 평균 2%대 후반에서 올해 3%대로 상승하는 추세다. 중소형 지방대의 자퇴자 비율은 더 높다. 신라

  • 숫자로 읽는 세상

    학령인구 감소+코로나 장기화…대입 수시 경쟁률 하락

    학령인구 감소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올해 대입 수시모집 경쟁률이 일부 학과를 제외하고 지난해보다 크게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지난 4일 입시전문업체 유웨이, 진학사 등에 따르면 올해 수도권 주요 대학의 수시전형 경쟁률은 지난해보다 다소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는 올해 수시경쟁률이 5.63 대 1로 전년도 6.76 대 1보다 하락했다. 성균관대 21.26 대 1(전년도 25.57 대 1), 한양대 21.77 대 1(전년도 26.95 대 1), 서강대 26.08 대 1(전년도 30.84 대 1), 중앙대 23.81 대 1(전년도 26.02 대 1) 등도 경쟁률이 대부분 전년보다는 내려갔다. 가톨릭대, 건국대, 숭실대, 동국대, 한국외국어대 등도 모두 수시 경쟁률이 하락세였다.학령인구 감소가 이 같은 경쟁률 하락의 주요인으로 꼽힌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따르면 2021학년도 수능 응시자는 49만3433명으로 지난해보다 5만5301명이 감소했다. 수능 지원자가 50만 명을 밑돈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수능 지원자 수는 △2016학년도 63만1184명 △2017학년도 60만5988명 △2018학년도 59만3527명 △2019학년도 59만4924명으로 갈수록 줄어드는 추세다.입시업계에서는 코로나19 여파도 수시 경쟁률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 있다. 오랜 기간 준비가 필요한 논술전형에서 경쟁률 하락이 두드러진다는 분석이다. 유웨이에 따르면 올해 주요대학 논술전형 경쟁률은 서강대가 76.8 대 1(전년도 95.33 대 1), 성균관대가 55.27 대 1(전년도 71.95 대 1), 한양대가 66.14 대 1(전년도 86.55 대 1)로 대부분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올해 수시 논술전형은 대다수 대학에서 모집인원을 축소해 당초 경쟁률이 올라갈 것으로 예상됐으나 코로나19 여파로 지원자가 예상치를 훨씬 밑

  • 커버스토리

    국내 대학 외국인 학생 3400명에서 16만명으로 급증

    서강대에서 경제학원론 강의를 하는 김모 교수는 요즘 고민이 많다. 강의실 절반가량을 메우는 외국인 유학생들이 한국어가 서툴러 수업을 따라오지 못하고 있어서다. 한국어 교재 대신 모국어 개론서를 책상 위에 펼쳐 놓은 유학생들을 보면 한숨부터 나온다. 중간·기말고사를 어떻게 치러야 할지도 걱정이다. 김 교수는 “우리뿐만 아니라 상당수 대학이 외국인 유학생들로 인해 정상적인 수업이 불가능한 상황”이라며 “최근엔 수가 많은 중국인 유학생이 아예 중국어로 강의해달라고 학교 측에 요구하기도 했다”고 털어놨다.20년 만에 40배 늘어난 외국인 유학생외국인 유학생이 본격적으로 늘어나기 시작한 것은 학령인구 감소세가 두드러지기 시작한 2000년대 초반부터다. 2009년 ‘반값 등록금’ 정책이 시행되면서 외국인 유학생 증가에 가속도가 붙었다. 1999년 3418명에 불과하던 국내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은 올해 16만165명으로 늘어났다. 20년 만에 40배 넘게 증가했다. 주요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 비율도 갈수록 높아졌다. 서강대는 비학위과정으로 재학 중인 유학생을 포함한 외국인 유학생 비율이 23.9%에 달했다. 캠퍼스를 누비는 학생 네 명 중 한 명은 외국인이라는 얘기다. 서울 주요 10개 대학 중 서울대를 제외한 9개 대학이 모두 외국인 유학생 비율 10%를 넘어섰다.외국인 유학생이 늘어나는 현상 자체는 한국 대학의 경쟁력이 높아진 결과라는 교육계의 긍정적 시각이 있다. 문제는 재정난에 시달리는 대학들이 ‘돈벌이’ 수단으로 무분별하게 외국인 유학생을 받아들이면서 벌어졌다. 유학생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같이 수업을 듣는 한국 학생들이 피해

  • 커버스토리

    인구 감소에 반값등록금까지…대학도 구조조정 시대

    대학들이 “돈이 없다”고 아우성치고 있다. 엄살이 아니다. 자금을 최대한 아끼기 위해 교직원 임금을 수년째 올리지 않은 곳이 많다. 물가는 꾸준히 오르는데도 월급 한푼 못 올려주는 건 재정이 그만큼 열악하다는 의미다. 일부 지방 대학은 월급 삭감까지 검토하고 있다.대학이 재정 위기를 겪는 배경엔 저출산으로 인한 학령인구 감소와 정부의 등록금 동결 정책이 있다. 저출산이 지속되면서 대학에 진학할 학생은 줄어드는데 대학은 그대로이다 보니 입학 정원만큼 학생을 모집하지 못하는 곳이 속출하고 있다. 등록금을 낼 신입생이 줄면서 대학 재정이 자연스레 어려워진 것이다. 정부의 등록금 동결 정책도 대학 재정엔 큰 부담이다. 2009년 시작된 ‘반값 등록금’ 정책으로 전국 대부분 대학은 11년간 등록금을 올리지 못했다. 그동안의 물가상승률을 고려하면 등록금 수입이 사실상 감소했다는 의미다.학문의 전당인 대학 역시 돈이 없으면 아무것도 할 수 없다. 정상적으로 운영되려면 교수와 직원에게 월급을 줘야 하고 연구를 위한 재료비 역시 필요하다.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뛰어난 교수를 영입하려면 더 많은 돈이 들어간다. 겉에서 보기엔 평화롭게만 보이는 대학이 돈에 목을 매는 이유다. 대학들은 “포퓰리즘(대중인기영합주의)적인 반값 등록금 정책을 재고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학령인구 감소와 반값 등록금 정책에 따른 영향과 보완책은 무엇인지 4, 5면에서 자세히 알아보자.정의진 한국경제신문 지식사회부 기자 justj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