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시네마노믹스

    오만이 불러온 위기…코로나는 '지구의 절규'일 수도

    안전지대에 있던 잭은 아들을 구하러 뉴욕으로 간다. 이미 눈보라가 시작된 뉴욕은 정부조차 포기한 지역이었다. 샘은 아버지의 조언대로 추위와 눈보라를 피해 건물 안(도서관)에 있었다. 함께 대피했던 사람들은 한시라도 빨리 남쪽으로 가야 한다며 도서관을 떠나려 했다. 샘은 나가면 얼어 죽을 수 있다고 설득하지만 듣는 사람은 많지 않았다. 사람들은 무언가를 결정할 때 논리적 이유보다 많은 사람이 그렇게 하는 것을 따르는 ‘밴드왜건’ 현상을 보인다. 이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결과는 좋지 못했다. 도서관을 떠나 걷던 그들은 대부분 혹한을 견디지 못하고 길에서 얼어 죽고 만다.미래에 이 같은 기후변화를 겪을 가능성은 얼마나 클까. 경제와 환경의 상호작용을 통한 동태통합기후경제(DICE) 모형으로 2018년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윌리엄 노드하우스 예일대 교수는 가능성이 작지 않다고 본다. 그는 기후변화라는 제약 요인을 성장모형에 결합했을 때 나타나는 최적 소비와 성장 경로를 제시한다. 이 모형에 따르면 기후변화가 장기적으로 경제 성장에 미칠 부정적 영향을 감안할 때 이를 완화할 수 있는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 합리적이다.노드하우스 교수는 온난화를 일으키는 이산화탄소 발생을 줄이기 위해 ‘글로벌 탄소세’를 제안한다. <그래프>에서 보듯 세금은 물건값을 올리고 생산활동을 위축시킬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기술 혁신을 촉진하고 새로운 사업 기회를 제공할 것이란 설명이다. 중국의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보복 등으로 어려움을 겪던 현대자동차가 수소전기차 분야에서 글로벌 톱티어 기업으로 도약한 것도 새로운 사업 기회를 잡은 덕분으로 해석

  • 시네마노믹스

    온난화에 무관심…지구 덮친 빙하기 '기후재앙', 완전히 망가지고 나서야 깨닫는 '공유지의 비극'

    잭 홀 교수(데니스 퀘이드 분)는 기존 학계 정설과 다른 주장을 펼치는 기후학계의 이단아다. 그는 온난화가 빙하를 녹이고, 빙하에 축적된 천연온실가스가 배출돼 더욱 심각한 온난화를 불러올 것으로 예상한다. 그리고 온난화로 해류가 멈추면서 북반구의 기후 냉각을 가져올 것이라고 내다본다. 기후 온난화가 결국 빙하기로 이어질 것이란 우울한 전망이다. 하지만 정부의 주요 관리는 이를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고 어떤 행동도 취하지 않는다. 잭 역시 이런 재앙이 당장 일어날 것으로 생각하진 않는다. 그는 100년 정도 뒤에 이 같은 현상이 벌어질 것으로 전망한다. 휴리스틱(경험적 접근)의 문제2004년 개봉한 투모로우는 기후변화로 발생하는 재난과 극복을 다룬 영화다.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을 계기로 인류의 생존을 위협할 변수 가운데 기후변화에 대한 관심이 덩달아 커지며 새삼 주목받고 있다.영화에서 정부와 잭이 당장 문제 해결을 위한 행동에 나서지 않는 것은 그간의 경험칙에 의존한 결과다. 지금까지 이런 방식으로 경제 발전을 해왔고, 환경 이슈도 꾸준히 지적됐지만 아무 문제가 없었기 때문이다. 인간은 합리적 선택을 하는 ‘호모 이코노미쿠스(경제적 인간)’처럼 가장 이상적인 해답을 구하는 게 아니라 현실적으로 경험에 따라 만족할 만한 수준의 해답을 찾는다. 2002년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대니얼 카너먼과 아모스 트버스키는 인간이 완벽한 의사결정을 할 수 없는 이유가 ‘휴리스틱(경험적 접근법)’을 사용하기 때문이라고 했다.보통 경험에 의한 판단은 심리적 편향(바이어스)을 유발하게 된다. 정부 관리와 잭의 안일한 생각은 ‘현상유지 바이어스&rs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