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타임머신을 타고 간 80만 년 뒤 지구에서 만난 사랑

    소설이나 영화가 예측한 것 가운데 실제로 이뤄진 게 많다. 지금은 너무 당연한 일이 수십 년 전만 해도 불가능한 것투성이었다. 1990년대 초반만 해도 전화기를 손에 들고 다니며 통화하는 건 소설 속 일이었다. 운전자 없이 달리는 차는 공상과학 영화에서나 가능했으나 이미 운전석이 텅 빈 자동차가 시험 운행되고 있다.드라마와 영화에서 자주 차용되지만 실현되지 않은 대표적인 것으로 타임머신을 꼽을 수 있다. 조선시대 왕족이 서울 도심을 활보하고, 아날로그 시대의 그와 사랑을 나누는 일은 그야말로 판타지일 뿐이다. 미래로 날아가서 체험한 기이한 일을 담은 최초의 소설은 다름 아닌 《타임머신》이다. 《타임머신》이 1895년 작품이라는 사실을 알면 놀라지 않을 수 없다. 19세기 말엽 영국에서 무의식에 대한 많은 저서가 나왔다. 꿈과 무의식, 육체이탈 체험에 대한 고찰이 넘치는 상황을 허버트 조지 웰스는 ‘탈것을 이용한 여행’으로 구체화해 비범하고 독창적인 공상 이야기를 만들어냈다.《타임머신》으로 유명해진 웰스는 《투명인간》 《우주 전쟁》 등 여러 편을 연이어 펴내 공중폭격과 화학무기, 레이저 광선, 산업견학, 우주여행, 유전자 공학, 성형수술, 지구온난화, 진동하는 우주 등의 상상을 펼쳤다. 과학발견 시대와 과학지식이 바탕웰스가 선구적인 과학소설을 쏟아낸 건 전무후무한 과학발견이 이뤄진 빅토리아 왕조 말기라는 시대와 무관하지 않다. 과학사범학교 출신으로 과학 교사, 생물학 강사를 지내며 《생물학 교본》을 낸 웰스의 해박한 과학지식도 《타임머신》을 쓰게 한 바탕이다.21세기 사이버 소설의 원조, 사이버펑크의 대부로 불러도 무방한 웰스

  •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시간이 흐르지만…웜홀 등으로 시간을 거슬러 갈 가능성은 열려 있어

    미래로만 흘러가는 시간의 화살은 우주를 이해하는데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아직까지 해결되지 않은 문제이다. 사진작가 김아타의 작품 <마오의 초상>은 얼음 조각상이 녹는 과정을 통하여 '존재하는 모든 것은 사라진다'는 자연의 엔트로피 법칙을 보여주고 있다. 이 작품은 미래로 흘러가는 시간의 화살 속에서 현재를 살고 있는 우리 존재의 의미를 다시 한 번 생각하게 한다. 빅뱅 우주 속에 살고 있는 우리에게 시간은 어떤 의미인가. 현대물리학에서 시간은 무엇일까. 분자의 무질서도가 엔트로피엔트로피는 ‘열은 뜨거운 물체에서 차가운 물체로만 이동한다’는 자연의 법칙을 설명하기 위해 도입된 양이다. 고립된 상황에서 열이 한 방향으로만 이동하는 것을 ‘엔트로피는 절대 감소하지 않는다’는 법칙으로 정량화한 것이다. 즉,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방향이 시간의 화살표가 된다. 김아타의 작품 <마오의 초상>에서도 따뜻한 대기에서 차가운 조각상으로 열이 이동하여 얼음이 녹는 과정이 시간의 화살표를 결정한다.물질이 원자로 구성됐다는 것을 몰랐을 때 과학자들은 ‘열에테르’를 도입하여 열을 설명하였다. 그런데 볼츠만(1844~1906)은 열의 원인이 원자의 요동일 수 있다는 제안을 했다. 볼츠만에 의해, 열에테르의 존재는 필요 없고, 엔트로피는 원자들의 무질서도를 나타내는 물리량임이 밝혀진 것이다. 하지만 볼츠만은 원자의 존재를 믿지 않았던 많은 과학자의 공격에 괴로워하다가 1906년 자살로 생을 마감하였다. 원자의 존재는 1905년 아인슈타인의 브라운 운동 논문으로 증명되었고, 이후 볼츠만 이론은 현대물리학의 기초가 된다.<마오의 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