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시네마노믹스

    텍사스에 눈 오는 것처럼…싱글맘의 기적같은 성공, 끝까지 이 길이 옳다고 확신했기에 이룰 수 있었죠

    평범한 싱글맘에서 혁신을 낳는 기업가로 변신한 조이는 한국 경제에도 유의미한 시사점을 던져준다. 정부가 조이와 같은 창업가를 더 양성해야 경제성장의 정체에서 빠져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조지프 슘페터는 저서 《경제발전의 이론》에서 “경제발전은 외부 여건 변화에 의한 단순한 순응과 수용이 아니라 경제 체제 내부에서 발생한다”며 “기업가의 혁신, 즉 생산요소의 새로운 결합이 경제발전을 자극하는 원천”이라고 주장했다. 슘페터에 따르면 기업가의 혁신만 있다면 자본주의는 무한히 발전하고, 노동자의 생활 수준도 개선된다. 2018년 노벨경제학상 공동 수상자인 폴 로머 뉴욕대 교수도 기술과 혁신이 성장으로 이어진다는 ‘내생적 성장이론’으로 슘페터의 주장을 뒷받침했다.이 영화는 정부가 창업 기업에 무엇을 지원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보여준다. 조이가 사업화와 마케팅, 판로 개척에 어려움을 겪었던 것같이 수많은 창업자도 같은 문제를 겪고 있다. 한 연구논문에 따르면 많은 창업자가 효과적인 정책자금 지원뿐만 아니라 기술개발·판로·마케팅·해외진출 지원이 중요하다고 답했다. 단순히 ‘돈’만 뿌릴 게 아니라 종합적이고 정교한 정책이 필요하다는 의미다.이 영화의 포스터는 눈을 맞는 조이다. 텍사스에서 회사를 살리는 협상을 끝내고 딸에게 줄 크리스마스 장난감을 사기 위해 장난감 가게 쇼윈도 앞에 서 있다가, 가게에 설치된 기계에서 흩날리는 가짜 눈을 맞는 조이를 포착한 것이다. 대체로 온난한 기후의 텍사스에 눈은 드문 일이다. 영화 포스터는 그 드문 확률을 만들어내는 조이의 기적을 간접적으로 보여준 것이

  • 시네마노믹스

    '죽음의 계곡'을 건너 '천사'를 만나고, 5월에 눈을 맞는 기적…그게 창업이었어

    2016년 개봉한 영화 ‘조이’에서 조이(제니퍼 로렌스 분)는 방 안에서 드라마에만 빠져 사는 어머니, 바람둥이인 아버지, 무능력한 전남편, 여기에 할머니와 두 아이까지 떠안고 간신히 하루하루를 살아가던 싱글맘이다. 어릴 때는 수많은 것을 만들며 발명가를 꿈꿨던 그는 정작 자신이 꿈꿨던 인생과는 너무나 다른 현실 속에서 지쳐간다. 어느 날 걸레로 깨진 와인잔을 치우며 손을 다치게 된 조이는 사업 아이디어를 떠올리고, 결국 그가 가진 ‘아주 특별한 능력’으로 대성공을 거둔다. ‘천사’를 만나고 ‘죽음의 계곡’을 건너는 창업조이가 성장하는 과정은 스타트업과 비슷하다. 조이는 손을 쓰지 않고도 깨끗하게 물기를 짜낼 수 있는 대걸레 ‘미라클 몹’을 구상하고 아버지의 부유한 애인인 트루디(이사벨라 로셀리니 분)로부터 투자를 받아 시제품을 만들기 시작한다. 트루디와 같은 ‘엔젤투자자’는 스타트업에 천사 같은 존재다. 엔젤투자자는 기술이나 아이디어로 볼 때 사업성이 있으나 제품 개발자금이 부족한 창업 초기 단계에 투자금을 지원하는 개인투자자를 일컫는다. 엔젤투자자로부터 자금을 공급받던 스타트업은 ‘액셀러레이터(스타트업에 초기 투자를 하고 육성하는 기관)’나 ‘벤처캐피털(벤처기업에 전문적으로 투자하는 회사)’로부터 대형 투자를 받으며 몸집을 불린다. 이같이 혁신을 키우는 벤처투자는 국내에서만 4조원대 규모다. 한국벤처캐피탈협회에 따르면 국내 신규 벤처투자액은 2015년 2조858억원에서 2019년 4조2777억원으로 두 배가량 뛰었다.우여곡절 끝에 시제품을 만들었으나 조이는 마땅한 판매채널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