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사과'의 기술, 일상의 언어와 격식의 언어

    지난달 내내 인터넷을 달군 ‘심심한 사과’ 논란은 우리 사회에 새삼 문해력이란 화두를 던졌다. 하지만 그 본질은 ‘쉬운 우리말 쓰기’를 실현하기 위한 수많은 다툼 중 하나로 수렴된다. ‘읽기 쉽고, 알기 쉽게 쓰기’는 19세기 말 독립신문에서 파격적으로 한글 전용과 띄어쓰기를 도입한 이후 100년 넘게 이어온 우리말 운동의 방향타였다. 그 가치는 지금도 유효하다. ‘헤밍웨이식 글쓰기’, 장단점 함께 살펴야간결하면서도 평이한 언어를 쓰는, 이른바 ‘헤밍웨이식 글쓰기’는 전통적으로 언론에서 추종해온 기사 작법의 원칙이다. 하지만 그것이 다는 아니다. 짧은 문장과 쉬운 단어가 특징인 헤밍웨이 문체가 오히려 어휘력 향상을 가로막는다는 주장도 간과할 수 없다. 적어도 어떤 단어가 문장 속에서 꼭 필요하고 적절한 표현이라면 다소 어려운 말도 쓸 수 있어야 한다는 게 요지다. ‘읽기 쉽고 알기 쉽게 쓰기’와 ‘난해하지만 정교하고 고급스러운 어휘 사용’, 두 명제는 글쓰기에서 늘 딜레마로 작용한다.‘심심한 사과’ 논란에 가려 크게 보도되지는 않았지만 비슷한 시기에 비슷한 사과문이 또 하나 있었다. 코로나로 3년 만에 재개된 인천 OO축제가 배경 무대다. 행사 진행자의 ‘퐁퐁남’ 발언 등 부적절한 언행이 세간의 입길에 올랐다. 조직위는 여론 악화를 우려해 급히 홈페이지에 사과문을 올렸다. “주최 측으로서 … 책임을 통감합니다. 그리고 해당 사안에 대해 진심의 사과 말씀을 드립니다.”사과문의 일부로, 그리 어렵지 않은 단어로 구성된 문구다. 짧은 문장이지만 우리말 오류 몇 가지가 압축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