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예/아니오' 말고 '예/아니요'로 답하세요

    기업인들이 국회에 불려가 진땀을 빼는 것은 미국도 비슷한 모양이다. 구글, 페이스북, 트위터 등 미국 거대 정보기술(IT)기업 최고경영자(CEO)들이 얼마 전 미 의회 청문회에서 곤욕을 치렀다. SNS에서의 가짜뉴스 확산에 대해 집중추궁을 받으면서였다. 이 과정에서 의원들이 CEO들에게 “예, 아니오로 대답하라”며 일방적으로 호통을 쳤다는 것이다. ‘예’ 상대어는 ‘아니오’가 아니라 ‘아니요’일상에서도 퀴즈풀이 등 ‘예/아니오’ 답변을 요구받는 경우는 흔하다. 그런데 이런 데 쓰이는 ‘예/아니오’는 실은 틀린 말이다. ‘예/아니요’라고 해야 바르다. “다음 물음에 ‘예/아니요’로 답하시오”와 같이 ‘예’에 상대되는 말은 ‘아니요’를 쓴다. 이때의 ‘예/아니요’는 각각 감탄사로 독립적인 단어다.우리말에서 ‘아니오’와 ‘아니요’는 서로 다른 말이다. 지난 호에서 살핀 ‘책요?/책이요?’의 관계와도 연관성이 있어 많이 헷갈리는 사례 중 하나다. ‘아니오’와 ‘아니요’는 어떤 상황에서 쓰일까? 다음과 같은 대화를 그려보자.“이게 당신 책이오?” “아니오.”(또는 “그건 내 책이 아니오.”) 이때의 ‘책이오/아니오’가 종결어미로 쓰인 ‘-오’다. 경어법으로는 ‘하오체(體)’다. 즉 ‘아니오’는 형용사 ‘아니다’의 활용형으로써, 어간 ‘아니-’에 하오할 자리에 쓰이는 종결어미 ‘-오’가 결합한 형태다. 하오체는 상대가 친구이거나 아랫사람일 때 격식을 갖춰 대접해 말하는 표현이다. 게다가 화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하늘길' '쓴소리'…北에서 다듬은 말이죠

    계절은 춘분(3월 20일)을 지나면서 봄기운이 더욱 완연해졌다. 온갖 꽃이 피어나 본격적으로 봄을 맞이하는 계절이다. 그것을 ‘봄맞이’ 또는 ‘봄마중’이라고 부른다. 예로부터 “들로 산으로 봄맞이(또는 봄마중) 가는 철이다”라고 했다. 그런데 ‘봄마중’에 대해서는 우리 국어사전들이 좀 인색한 듯하다. ‘봄마중’은 아직 사전에 오르지 못해‘애기종달새 푸른하늘 놉히떠서 노래부르네 욜로절로 하로종일 날러다니며 봄마중을 나가자고 노래부르네….’ 일제강점기 때인 1930년 5월 4일자에서 조선일보는 ‘종달새 노래’란 시로 이땅에 봄이 왔음을 알렸다. ‘봄마중’은 ‘봄맞이’와 함께 오랜 세월 우리 일상에서 쓰인 익숙한 단어다. 하지만 아쉽게도 사전에서는 이 말을 찾아볼 수 없다.50여만 단어를 수록해 가장 큰 규모라는 인터넷 《표준국어대사전》(국립국어원)에도 ‘봄마중’은 나오지 않는다. 정식 단어로 인정받기 전의 개방형 사전인 《우리말샘》에서는 이 말을 ‘봄맞이의 북한어’로 올렸다. 그런데 이 풀이는 실은 《표준국어대사전》이 처음 간행된 1999년판 종이사전에 실렸던 것이다. 2016년 《우리말샘》을 개통하면서 《표준국어대사전》에 있던 표제어 ‘봄마중’을 옮겼을 것이다. ‘봄마중’은 지금도 여전히 ‘북한말’이라는 굴레를 쓴 채 사전에 오르지도 못하고 홀대받는 셈이다.남산 케이블카는 언제 생겼을까? 1962년 5월 19일자 조선일보는 ‘장안을 한눈 아래’라는 제목으로 남산 케이블카 개통(5월 12일) 소식을 알렸다. “「은하수」 「무지개」라고 고운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