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커버스토리

    보유한 달러 넉넉, 국가신용등급은 中·日보다 높아

    20년 전 국제통화기금(IMF)에 자금을 요청할 당시 한국 경제는 말 그대로 ‘위기’ 자체였다. ‘나라의 곳간’격인 외환보유액은 200억달러를 밑돌 정도로 바닥을 드러냈고, 1997년 한 해에만 1만7000여 개 기업이 도산했다. 국가신용등급은 줄줄이 낮아지며 ‘투기등급’으로 떨어졌다. 하지만 20년이 지난 한국 경제는 적어도 수치적으로는 격세지감을 느낄 정도로 위기를 극복하고 국제적 위상도 높아졌다.외환보유액 세계 9위 국가로우리나라가 IMF에 자금 지원을 요청한 것은 ‘총체적 경제 부실’의 결과였다. 1997년 1월 철강·건설이 중심이었던 국내 기업 서열 14위 한보그룹의 부도를 시작으로 기아자동차 등 굵직굵직한 기업들이 줄줄이 파산했다. 한 해에만 1만7000여 개 기업이 파산한 것은 유례가 없는 일이다. 한국 경제에 대한 불안감이 커진 외국인들은 자금을 빼나가기 시작했고, 주가는 크게 하락했다. IMF에 자금 지원을 요청한 바로 전 해인 1996년에는 경상수지 적자가 239억달러로 사상 최대치에 달했다.기업의 연쇄 부도와 경상수지 적자 등으로 ‘나라의 곳간’격인 중앙은행(한국은행)의 외환보유액은 완전 고갈 상태에까지 이르렀다. 1996년 말 외환보유액은 불과 332억달러였으며 IMF에 구제금융을 요청하기 직전에는 200억달러도 밑돌았다. 한마디로 나라 빚을 갚은 돈이 거의 없었다는 얘기다. 현재 외환보유액 3845억달러(10월 말 기준·세계 9위)를 감안하면 당시 외환이 얼마나 부족했는지를 짐작할 수 있다.1997년 초 달러당 1000원대 안팎에서 움직이던 원·달러 환율은 그해 말 2000원에 육박했다. 국내에서 유통되던 달러가 급격히 줄어들면서 달러값이

  • 경제 기타

    재정위기 딛고 부활한 유로존 경제… "황금시대 향해 가고 있다" 낙관론 커져

    유로존 경제가 올 들어 예상을 뛰어넘는 강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지난달 올해와 내년도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상향 조정하면서 주된 이유로 ‘유로존의 경기 호황’을 꼽았다. 투자은행 크레디트스위스는 “유로존 경제가 물가 안정 속 성장이라는 황금기(golden era)를 향해 가고 있다”고 진단했다.유로존 출범 후 최고의 상황지난 6월 파이낸셜타임스(FT)는 올 1분기 유로존의 경제성장률이 전년 동기 대비 2.0%로 미국(1.2%)의 약 두 배에 달했다는 소식을 전하면서 “유로존의 경기 회복은 올해 가장 놀라운 소식 중 하나”라고 평가했다. 일부 전문가는 유로존 경제에 대한 의구심을 거둬들이지 않았다. 최근 몇 년간 유로존 경제가 ‘반짝 회복세’를 보이다 다시 추락한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유로존 경제성장률은 그러나 2분기 2.3%, 3분기 2.5%로 갈수록 가팔라졌다. 3분기에는 그동안 약세를 보이던 유로화가 강세로 돌아선 까닭에 경제 성장세도 다소 약해질 것이라는 관측이 많았지만 이 같은 우려마저 불식시켰다.유로존 경제의 고질적인 병폐로 꼽히던 실업 문제도 빠르게 개선되고 있다. 작년까지 두 자릿수이던 유로존 실업률은 올 들어 지속적으로 하락해 지난 9월 8.9%를 기록했다. 2009년 1월 이후 최저치다. 청년실업률은 18.7%(9월 기준)로 여전히 높지만 작년 9월(20.4%)과 비교하면 많이 떨어졌다.경기가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자 유로존의 공장 가동률은 사상 최고치 수준(83.8%)으로 높아졌다. 기업의 투자 확대로 일자리가 늘고, 이로 인해 민간 소비가 증가하는 경제의 ‘선순환 구조’가 형성될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얘기다. 경제성장률과

  • 커버스토리

    외환위기 3년만에 극복했지만 구조개혁은 지지부진

    한국은 2001년 8월 국제통화기금(IMF) 관리체제에서 벗어나는 데 성공했다. ‘6·25 이후 최대 국난(國難)’이라 불린 외환위기를 단 3년여 만에 극복한 것이다. ‘금 모으기 운동’으로 상징되는 범국민적 고통 분담과 더불어 정부의 강력한 구조개혁이 조기 졸업을 가능하게 했다.4대 부문 고강도 개혁… IMF 체제 조기 졸업외환위기 이후 집권한 김대중 정부는 기업·금융·노동·공공 등 이른바 ‘4대부문 개혁’을 강도 높게 밀어붙였다. 대기업은 평균 400%가 넘던 부채비율을 1999년 말까지 무조건 200% 밑으로 끌어내려야 했다. 5대 그룹의 사업 중 경쟁력이 약한 부문을 통폐합하는 ‘빅딜(사업 맞교환)’도 정부 주도로 이뤄졌다. 2100여 개에 달하던 금융회사는 1년여 만에 659개가 문을 닫았다. 포항제철(현 포스코) 한국통신(현 KT) 등 8개 공기업이 민영화됐고 정리해고법 근로자파견법 도입 등 노동개혁도 시도됐다.외부 충격에 따른 강제적인 구조개혁이었지만 결과적으로 성과는 나쁘지 않았다. 1998년 -5.7%이던 경제성장률은 1999년 11.3%, 2000년 8.9%로 반등하면서 외환위기를 조기 극복하는 발판이 됐다. 한국 기업의 수출이 다시 급증했고, 은행권도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이 1997년 7.0%에서 2005년 12.4%로 높아지는 등 건전성이 크게 개선됐다. 훗날 IMF는 한국의 구조개혁을 ‘모범사례’로 꼽았다. IMF는 지난해 2월 발표한 보고서에서 “외환위기 이후 구조조정 덕분에 한국의 총요소생산성은 2000~2008년 다시 상승했다”고 분석했다.2010년대 들어서는 얘기가 달라진다. 한국 경제의 고비용·저효율 구조가 다시 심화되고 있다고 우려하는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