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교양 기타

    "청나라 배척하려면 조선의 무딘 습속부터 바꿔야 한다"…공리공론<空理空論> 아닌 실사구시<實事求是>로 부(富)를 키워야 한다고 강조

    “천하를 통치하는 사람은 백성에게 이롭고 국가를 부강하게 할 수 있는 것이라면그 법이 오랑캐에게서 나왔다고 하더라도 본받아야 한다.”“어떤 사람들은 조선에는 산과 계곡이 많아 수레가 적당하지 않다고 말한다. 얼토당토 않은 소리다. 백성들이 이다지도 가난한 까닭은 대체 무엇 때문이겠는가.”“이용(利用)이 있은 뒤에야 후생(厚生)이 될 것이요, 후생이 된 뒤에야 정덕(正德)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생활이 넉넉하지 못하면 어찌 덕을 바르게 할 수 있겠는가. 부강한 나라 건설과 백성의 삶 증진에 보탬이 되는 실용을 정치의 중심에 세워야 한다.”연암 박지원(1737~1805)은 조선 후기 실학파의 거두로 꼽힌다. 그는 정조 4년(1780) 청나라 황제 건륭제의 칠순을 축하하기 위한 사절단 일원으로 뽑혀 베이징과 황제의 별궁이 있던 열하를 다녀왔다. 《열하일기(熱河日記)》는 세계적인 제국으로 발전한 청나라를 두 달여간 목격한 뒤 쓴 생생한 기행문이다.그가 이 책을 통해 전하려는 핵심 메시지는 이용후생, 실사구시(實事求是)였다. 주자학에 매몰된 주류 기득권층이 명분에 집착해 백성의 삶을 돌보는 데는 무능하다고 비판하고, 공리공론(空理空論)이 아니라 진정 나라를 부강하게 하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역설했다. 견문기라는 큰 틀을 지키면서도 그 안에 일기, 수필, 호질·허생전과 같은 소설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담은 독특한 양식의 책이다.“백성에 도움되면 오랑캐에도 배워야”당시 조선에선 “청을 정벌하자”는 북벌론이 여전했다. 박지원은 이런 주장을 헛된 일이라고 생각했다. 그의 눈에 비친 청은 조선과 달리 서양의 과학과 기술을 적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