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교양 기타

    나에게 맞는 일을 탁월하게 해낼 때 행복해진다

    얼마 전 고등학생들이 할머니에게 반말을 하면서 담배 심부름을 시키고 심지어 때리기까지 했다는 뉴스를 보고 경악을 금치 못했다. 요즘 들어 범죄를 저지르고도 죄책감을 느끼지 않는 청소년이 많다는 뉴스가 자주 들려와 걱정이 아닐 수 없다. 범죄는 다른 사람을 다치게 할 뿐 아니라 자신을 구렁텅이에 빠뜨리는 나쁜 행위라는 걸 명심해야 한다.청소년 범죄 뉴스를 접할 때마다 《니코마코스 윤리학》을 읽으며 생각을 다듬었더라면, 하는 아쉬움을 금할 길 없다. 니코마코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아들이다. 아들에게 강의하는 형식으로 기술된 이 책을 아버지의 마음을 헤아리며 읽으면 좋을 것이다.《니코마코스 윤리학》은 원래 10권으로 구성돼 있는데 홍석영 작가가 청소년을 위해 6부로 재구성해 선보였다. 쉽게 풀이한 데다 196쪽 분량이어서 읽기에 부담이 없다.고대 그리스 철학자 소크라테스-플라톤-아리스토텔레스는 스승과 제자 관계로 서양 사상의 기본 틀을 형성하는 데 큰 역할을 한 인물들이다. 스승의 사상을 수용·비판하는 과정에서 계승·발전이 이뤄지며 현재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 번뿐인 인생 선하게 살자이상주의자인 플라톤은 ‘인간은 눈에 보이는 그림자의 세계에 살지만, 죽음과 함께 육체의 옷을 벗어버리면 영원한 정신의 세계인 이데아의 세계로 돌아간다’고 주창했다. 현실주의자인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데아의 세계를 부정하며 우리가 살고 있는 자연적인 세계만 존재한다고 여겼다. 죽으면 인간의 삶이 끝나므로 한 번뿐인 인생을 참으로 선하게 살아야 한다고 강조했다.아리스토텔레스가 추구하는 인생의 목적은 행복이었다. 《니코마코스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시인, 왜 사물을 의인화하는 걸까?…데카르트주의자는 될 수 없으니까

    겨울산에 가면밑둥만 남은 채 눈을 맞는 나무들이 있다쌓인 눈을 손으로 헤쳐내면드러난 나이테가 나를 보고 있다들여다볼수록비범하게 생긴 넓은 이마와도타운 귀, 그 위로 오르는 외길이 보인다그새 쌓인 눈을 다시 쓸어내리면거무스레 습기에 지친 손등이 있고신열에 들뜬 입술 위로물처럼 맑아진 눈물이 흐른다잘릴 때 쏟은 톱밥가루는 지금도마른 껍질 속에 흩어져해산한 여인의 땀으로 맺혀 빛나고,그 옆으로는 아직 나이테도 생기지 않은꺾으면 문드러질 만큼 어린것들이뿌리박힌 곳에서 자라고 있다도끼로 찍히고베이고 눈 속에 묻히더라도고요히 남아서 기다리고 계신 어머니,눈을 맞으며 산에 들면처음부터 끝까지 나를 바라보는나이테가 있다.- 나희덕, 「겨울산에 가면」- 나이테가 나를 보고 있다/… 이마와/도타운 귀…/… 손등…/신열에 들뜬 입술 …/… 눈물…/해산한 여인의 땀…/ 어머니사물에도 영혼, 정신, 의식, 마음이 있을까?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아리스토텔레스주의자이고, 없다고 생각하면 데카르트주의자이다. 시인은 아무래도 아리스토텔레스주의자여야만 할 것 같다. 그래야만 가슴 속에 있는 마음이 움직일 테니까….데카르트주의자에게 ‘나는 나이테를 본다’는 가능해도, ‘나이테가 나를 본다’는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인간만이 정신, 의식을 지닌 존재, 즉 주체이고, 그 외의 것들은 정신, 의식이 없어 객체이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시에서 ‘나이테가 나를 본다’는 것은 주체인 ‘나’를 객체로, 객체인 ‘나이테’를 주체로 놓은 주객전도의 표현이다. 이를 쉽게 말하면 나이테라는 사

  • 교양 기타

    "인간은 국가라는 정치공동체를 이뤄 살아갈 수밖에 없다"...

    “손님 각자가 가지고 온 음식이 한 사람이 만든 요리보다 더 다양한 맛을 내는 것처럼, 많은 사람이 함께 내리는 판단이 훨씬 더 뛰어나다. 국가가 필요한 이유도 이와 같다. 각기 다른 능력을 가진 국가 구성원들이 서로 보완적인 역할을 함으로써 더 행복한 삶을 이룰 수 있다.”그리스 정치철학자인 아리스토텔레스(기원전 384~322)는 행복이야말로 인간이 추구하는 목적 가운데 최고의 선(善)이라고 여겼다. 그는 “행복이란 자신에게 주어진 능력과 조건 안에서 가장 적절하게 스스로를 실현하고, 다른 이들과 함께 잘 어울리는 것”이라고 했다.이런 개인의 행복을 실현할 수 있는 이상적인 정치체제가 무엇인지 탐구한 책이 《정치학(politica)》이다. 그는 41세 때 마케도니아 왕의 부탁을 받고 왕자(훗날 알렉산더 대왕)의 가정교사가 됐다. 이 책은 그가 알렉산더에게 가르치기 위해 정리한 교재다. 폴리티카는 ‘폴리스에 관한 이야기’라는 뜻이다. 폴리스는 고대 그리스의 도시국가를 지칭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아테네를 비롯한 각 폴리스의 다양한 통치 형태를 관찰한 뒤 어떤 것이 바람직한 정치 시스템인지 제시했다.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은 본성적으로 국가라는 정치공동체를 이뤄 살아갈 수밖에 없다”고 설파했다. 두 가지 이유에서였다. 첫째, 생존 때문이다. “인간이 안정적으로 살기 위해서는 국가가 필요하다. 국가라고 불릴 정도의 공동체가 돼야 자급자족이 가능해지고, 스스로의 힘으로 욕구를 충족할 수 있다.”공유지의 비극 정확하게 인식두 번째는 국가에 소속돼야 온전한 인간이 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인간은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