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역사 기타

    역사적으로 군집→부족→족장사회→국가로 발전…한국의 청동기시대는 '군집'…단군신화와 역사는 달라

    송국리유형의 취락은 이전 유형에 비해 규모가 훨씬 컸다. 현재까지 발굴된 것 중에는 충남 보령시 관창리의 취락 유적이 가장 큰데, 특정 시점의 주거지가 100기 정도로 추정된다. 경남 진주시 대평리에서는 상이한 시점의 주거지를 합해 모두 350기의 주거지가 발굴됐다. 진주시는 대평리에 청동기문화박물관을 세워 관광객을 유치하고 있는데, 학습차 한 번쯤 들러볼 만하다.송국리유형의 취락을 둘러싸고서는 방호시설로 환호(環濠)와 목책(木柵)이 설치됐다. 이는 생활자료를 구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취락 간 긴장이 높아진 시대가 됐음을 이야기하고 있다.단백질 공급원취락의 내외에는 분묘지와 경지가 조성됐다. 진주에서 발굴된 논의 규모는 평균 20㎡로, 한 사람으로도 개간과 관개가 가능할 정도의 작은 규모다. 반면 밭의 규모는 훨씬 컸다. 어느 밭은 이랑이 19개인데, 그중 하나는 길이가 123m에 달했다. 인골에서 추출된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통해 그 사람이 평생 섭취한 식료의 종류를 알 수 있다.관련 연구에 의하면 신석기 시대 후기 인간들은 탄소열량을 주로 도토리나 벼와 같은 야생 식료 채취에 의존했다. 그에 비해 청동기 시대 후기, 곧 송국리유형에서 탄소열량의 주요 공급원은 조, 기장, 수수와 같은 밭작물로 바뀌었다. 다시 말해 밭농사가 경제생활의 불가결한 토대를 이룬 것이다. 단백질의 주요 공급원은 이전 시대와 마찬가지로 육상동물과 어패류였다. 수렵과 어로는 여전히 큰 비중의 생산활동을 이뤘다.송국리유형의 취락은 주거지, 농경지 외에도 공동의 분묘지, 저장시설, 공방(工房), 회의장, 외부와의 교역 장소 등을 보유했다. 고고학자들은 이 같은 구조의 취락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