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문장을 비트는 서술어 '전망이다'

    지난 호에 이어 우리말 문장을 왜곡하는 사례를 좀 더 살펴보자. 관형어를 많이 쓰면 필연적으로 명사구 남발로 이어지고, 이는 문장의 리듬을 깨고 글을 허술하게 만든다. 부사어를 살려 쓰면 동사·형용사가 활성화돼 문장의 구색이 갖춰지고 글에 운율이 생긴다. 짜임새 있는 문장은 그 자체로 힘 있고 매끄럽다. 주어와 서술어 호응하지 않아 비문관형어를 남발하는 현상은 다양하게 발생한다. 다음 문장을 비교해보자.①그는 내일 떠날 ‘계획이다’. ②그는 내일 떠날 ‘전망이다’. 흔히 볼 수 있는 명사문인데, 두 문장은 비문 여부의 판단이 좀 다르다. ①은 서술어가 주어의 동작, 속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동사문으로 바꾸면 ‘그는 내일 떠나려고 계획하고 있다’로, 이게 기저문장이다. 그에 비해 문장 ②의 서술어 ‘전망이다’는 주어 ‘그’와 아무런 관련성이 없다. ①과 같이 ‘그는 내일 떠나려고 전망하고 있다’로 해선 의미전달이 되지 않는다. ‘전망’의 주체는 제3의 누군가로 인식되는데, ‘그’가 주어인 문장에서 서술어로 행세하고 있으니 마치 머리 따로 꼬리 따로인 셈이다. 비문에 지나지 않는다.이런 오류는 글쓰기에서 흔히 일어난다. ‘수출이 급속히 늘어날 전망이다’, ‘아파트 분양이 활발해질 전망이다’, ‘물가가 오를 전망이다’, ‘대북 관계가 악화될 전망이다’ 등이 모두 바른 표현이 아닌 이유가 여기에 있다. ‘전망이다’ 부분을 ‘~ㄹ 것으로 보인다’, ‘~ㄹ 것으로 전망된다’, ‘~ㄹ 것으로 예상된다’처럼 피동형으로 바꿔 동사문으로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결혼은 '필수 아닌 선택'이라고?

    2018년 11월 나온 통계청의 사회조사 결과는 놀라웠다. 저출산 극복이 사회적 현안이 된 지 오래된 터라 신문들은 그 내용을 앞다퉈 보도했다. 수많은 관련 기사 가운데 <국민의 절반 이상 ‘결혼은 필수 아닌 선택’>이란 제목이 눈에 띄었다. 혹시 이런 문장을 보면서 아무 이상을 느끼지 않는 이가 있을까? ‘필수 아닌 선택’은 무슨 뜻일까? 이게 어색하게 보였다면 어디에 문제가 있는 것일까? ‘아니라’를 써야 할 데에 ‘아닌’ 남발‘무엇(이) 아니라 무엇’ 또는 ‘무엇(이) 아니고 무엇’이라고 쓰던 말이었다. 이 표현이 요즘은 ‘무엇 아닌 무엇’으로 쓰인다. 이른바 우리말에서 진행되고 있는, 부사어의 관형어화 현상이라 할 수 있다. 이것을 어법의 변화로 봐야 할까, 아니면 단순히 잘못된 글쓰기 습관 탓으로 돌려야 할까.글쓰기에서 관형어 남발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아니라’와 ‘아닌’의 관계는 그런 현상의 대표적 사례다. 부사어를 써야 할 곳에 습관적으로 관형어를 붙이는 것이다. 그런 사례는 너무나 많아 모국어 화자들이 더 이상 어색하게 여기지 않을 정도다. 예를 들어보자. “전북 익산시는 국내가 아닌 해외에서 유턴 기업을 발굴하고 있습니다.” 이게 왜 ‘국내가 아닌 해외’가 됐을까? 이런 표현은 정통 어법에 익숙한 사람에겐 낯설다. ‘해외’를 강조하려다 보니 ‘국내가 아닌’을 수식어로 덧붙였을 것이다. 아무리 그래도 ‘국내가 아닌 해외’란 말은 성립하지 않는다. 적어도 ‘국내가 아니라 해외에서~’라고 써야 한다. 그게 일반적으로 공유하는 ‘문법&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부사어를 쓰면 문장에 리듬이 생기죠

    전국 곳곳에서 재·보궐 선거가 치러진 지난 4월 7일은 제65회 ‘신문의 날’이기도 했다. 구한말 기울어가는 국운 속에서 우리나라 최초의 민간신문인 ‘독립신문’이 탄생했다. 그날이 1896년 4월 7일이다. 언론인들의 ‘생일’이라고 할 수 있는 신문의 날은 이날을 기념해 제정됐다. 명사 많이 쓰면 ‘압축성’ 좋아도 ‘서술성’ 떨어져독립신문은 한국 언론사(史)에서 국어사적으로도 큰 획을 그었다. 우리나라 신문 최초로 한글로만 쓰고, 띄어쓰기를 도입했다는 점에서다. 창간 사설에서 한글로만 쓰는 이유를 “상하귀천이 다 볼 수 있게 하기 위해서”로, 띄어쓰기는 “누구나 말을 알아보기 쉽게 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독립신문의 ‘알기 쉽게 쓰기’ 정신은 120여 년이 지난 요즘 글쓰기에도 유효하다.첨가어인 우리말은 조사나 어미 변화로 문장 성분을 만들고 운율도 준다. 그러면서도 조사나 어미를 떼어내고 명사만으로도 의미 전달이 가능하다. 이런 경우 글자 수를 줄이면서 개념만으로 의미 표현을 할 수 있으므로 압축 효과도 기대된다. 그래서인지 글쓰기에서 명사(또는 명사구) 사용의 유혹은 끊임없이 일어난다.예를 들어보자. “정부는 이번 사태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 “주가가 1년 전에 비해 2배로 올랐다.” 흔히 볼 수 있는 이런 문장은 명사를 사용해 다음같이 줄일 수 있다. “정부, 사태 심각 인식.” “주가, 1년 새 2배 상승.” 이 같은 명사 나열체는 그 자체로 ‘의미의 압축성’과 우리말 특성인 ‘서술성 확보’ 간 역(逆)관계에 놓여 있음을 보여준다.일반적인 글쓰기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아닌'과 '아니라'의 차이

    이동통신 3사가 지난 1일 세계 최초로 5세대(5G) 상용 전파를 송출하며 ‘5G 시대’ 개막을 알렸다. 한 회사는 곧바로 5G 첫 가입자를 선정해 발표하기도 했다. 언론에서도 앞다퉈 관련 보도를 쏟아냈다. 그중 주목할 만한 문구가 하나 있었다. ‘5G 1호 가입자는 사람 아닌 로봇.’‘아니라’ 써야 할 곳에 ‘아닌’ 남발해기사에서도 십중팔구 이런 식의 문구가 이어졌다. 사람 아닌 로봇? 이게 가능한 표현인가? 무엇을 뜻하는지는 알겠는데…. 하지만 아무래도 어색하다. 이런 식의 표현은 다양한 상황에서 흔히 접할 수 있다. 얼마 전 치킨 가격이 화제가 됐을 때다. “치킨 가격이 다시 들썩인다. 페리카나 등은 최근 가맹본부가 아닌 가맹점주 주도로 메뉴 가격을 1000~2000원씩 올렸다.” ‘가맹본부가 아닌 가맹점’은 또 무슨 말일까? 가맹본부인 가맹점이 따로 있나? 그렇다면 말이 되겠지만 그런 것은 아니다.그런데도 사람들은 별 탈 없이 이런 말을 흔히 쓴다. 언제부터인지 이런 표현이 급속히 늘어 우리말글을 시달리게 하고 있다. △자율주행차는 이제 미래가 아닌 현실 속의 이야기다. △그는 안보전문가가 아닌 통상전문가다. △내일 행사에는 대통령이 아닌 국무총리가 참석할 예정이라고 한다.말로 할 때는 “미래가 아니라 현실이야”라고 한다. 이를 “미래가 아닌 현실이야”라고 하는 게 요즘 글쓰기 실태다. 나머지도 모두 ‘A가 아니라 B’로 써야 할 문구다. ‘아닌’과 ‘아니라’를 구별하기 위해 특별히 문법적 지식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모국어 화자라면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집합 관계를 따지는, 약간의 수학적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