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커버스토리

    '산유국' 베네수엘라의 비극 출발점도 국가부채

    먹을 것을 구하기 힘들어 국민 평균 체중이 1년 만에 11㎏ 줄었다. 인구 중 10%(330만 명)는 살기 위해 나라를 떠났다. 산유국으로 한때 중남미에서 가장 넉넉한 살림을 자랑했던 베네수엘라에서 지난 몇 년 동안에 발생한 일이다. 1930년대만 하더라도 세계 5대 경제강국이었던 아르헨티나는 국제통화기금(IMF)으로부터 수차례 구제금융을 받는 국가로 추락했다. 모두 나랏돈을 펑펑 쓰다 생긴 일이다.무분별한 재정 지출로 ‘빚더미’베네수엘라 경제 파탄의 직접적 원인은 2010년대 들어 국제 유가의 급락이다. 올 들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세계경제를 강타하면서 국제 유가가 선물시장에서 마이너스로까지 급락하는 사태가 발생하는 등 산유국들의 어려움은 더욱 가중될 것이 불가피한 상황이다.하지만 베네수엘라 경제의 속내를 들여다보면 국가 채무 관리를 잘못한 탓이 크다. 주력산업인 석유산업의 침체로 정부 수입이 급격히 줄어들면 세금을 인상하고 복지 혜택을 줄이는 등 일시적인 긴축 재정을 택해야 하는데 베네수엘라는 정반대의 길로 갔다. 포퓰리즘(대중인기 영합주의) 정책을 유지하며 되레 돈을 더 풀었다. 석유자원을 국유화한 뒤 석유 판매수익을 토대로 서민과 빈곤층에 무상 혹은 낮은 가격으로 주거, 의료, 교육 등의 복지를 제공했다.단기적인 소득 증가에 힘입어 처음엔 빈곤층이 줄고 국민소득이 높아지는 듯했다. 하지만 곧 한계가 드러났다. 2013년 니콜라스 마두로 대통령이 취임한 후 베네수엘라 경제 규모는 3분의 1 토막이 났다. 가격 규제로 기업 활동이 어려워지고, 복지비용 등 공공지출이 급증하면서 적자 재정은 눈덩이처럼 불어났다.그나마 고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