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킥스타트와 함께 하는 창업 이야기

    창업과 학업, 두 마리 토끼를 잡은 청년 기업인들

    한국에서는 청소년 시기에 창업을 시작하고 본격적으로 사업을 진행하기엔 어려움이 많습니다. 학업과 사업을 병행하는 데 따르는 시간적 압박에 더해 청소년은 공부를 해야 한다는 사회적 시선도 극복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런 환경 속에서도 청소년 시절부터 사업을 하면서 시장의 변화를 이끌어낸 사례가 있습니다. 김영호 어시스트엔터프라이즈 대표김영호 대표는 중학생 때 당시 유행하던 게임의 공략, 육성법 등을 담은 홈페이지를 만들고 정액 요금을 받는 형태의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당시 회원이 2000~3000명 됐다고 합니다. 이후 온라인 게임 전문 웹진들이 등장하면서 사업을 접기는 했지만 김 대표가 일찍부터 시장을 보는 안목을 지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김 대표는 22세 때 본격적으로 온라인 광고 분야에서 창업에 도전했습니다. 이후 다양한 경험을 거쳐 지금의 안과 광고 플랫폼 ‘안닥’을 창업했습니다. 마케팅 비용이 과도한 의료 분야의 고객과 서비스를 연결해 주는 플랫폼으로 색맹 검사, 안구질환 검사 툴도 개발했습니다. 이제우 커넥션 대표이제우 커넥션 대표는 중학생 때 주변에서 크리에이터 활동을 하고 싶지만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해 하는 사람들을 많이 봤습니다. 본인도 마찬가지였습니다. 그래서 크리에이터가 되려는 사람들이 어떻게 시작하고, 어디서 도움을 받을 수 있는지 등 정보를 나누고 서로 협업할 수 있는 커뮤니티 ‘쿠즈’를 만들었습니다.유저의 입장에서 경험하면서 느낀 어려움을 해결하고 싶은 마

  • 경제 기타

    개화 전, 장사는 천한 '말업' 큰 돈 벌면 장사 '끝'…개화 후, 큰 돈 벌어서 기업 이어가면서 '확장 경영'

    박승직, 김성수, 김연수, 박흥식 등 초기의 기업가들 이야기를 세 번에 걸쳐 연재했다. 이들 개화기의 기업가들이 초기의 본격적 기업가들이기는 하지만 최초라고 말하긴 어렵다. 조선조에도 이미 원초적 형태의 기업가, 즉 상인들은 있었다. 하지만 그들을 본격적인 기업가라고 말하긴 어렵다. 박승직부터 시작되는 개화기의 신흥 상인들과는 행동 방식이 많이 달랐다. 그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자.■ 기억해 주세요^^기업가 정신이 우리나라에 생기기 시작한 것은 갑오개혁 이후부터입니다. 이전에 상업은 천한 직업으로 홀대받았어요.개처럼 번 뒤 정승처럼 폼내면서 살다조선조 상인의 대표 격은 철종 때의 임상옥이다. 소설가 최인호가 그의 일생을 상도(商道)라는 소설로 출간하면서 널리 알려졌다. 그는 중국과의 인삼거래로 큰돈을 벌었다.임상옥이 박승직, 김연수 등 개화기의 상인들과 결정적으로 달랐던 점은 돈을 번 후의 행동이다. 박승직 등은 돈 버는 데에 성공한 후에도 그 성공을 기반삼아 사업을 더욱 크게 키워나갔다. 자식들에게도 물려줬다. 반면 임상옥은 그렇게 하지 않았다. 일단 큰돈을 벌자, 장사를 그만 두고 벼슬길에 나섰다. 수재 의연금을 낸 공으로 곽산 군수가 되었고, 더 이상 승진이 안되자 고향으로 돌아가 안빈낙도의 생활을 시작했다. 좋은 집을 지어 놓고 선비들을 두루 불러 세상을 논했고 술을 마시며 시를 읊었다.장사는 천한 일이었다. 할 수만 있다면 하루라도 빨리 버려야 했다. 그렇기 때문에 돈을 벌면 양반 족보와 벼슬을 사서 어떻게든 팔자를 바꾸려 했다. “개처럼 벌어서 정승처럼 쓴다”는 속담이 괜히 나온 것이 아니었다.갑오개혁 이후 사농공상&r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