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숫자로 읽는 세상
大入 수시 9월 23~28일 접수…정시 원서는 내년 1월 7~11일
2021학년도 대학 입시를 위한 대학입학전형 일정이 확정됐다. 수시모집 학교생활기록부 작성 기준일은 9월 16일로, 수시 원서접수 기간은 9월 23~28일로 변경됐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변경된 2021학년도 대학입학전형 일정을 13일 확정, 발표했다. 대부분 일정은 지난달 교육부가 내놓은 대학입학전형 일정 변경안대로 정해졌지만 수시 학생부 작성 기준일과 수시원서 접수 기간, 합격자 발표...
-
커버스토리
금리 인하·국채 매입…한국도 양적완화 카드 꺼냈다
한국은행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대응해 전례 없는 유동성 공급 확대 조치를 내놓고 있다. 기준금리를 사상 최저인 연 0.75%까지 내린 데다 다양한 자산을 매입해 시중에 상당한 규모의 유동성을 공급하고 있다. 코로나19 충격으로 경기가 빠르게 얼어붙고 있는 데다 시중에 돈이 돌지 않으면서 금융회사가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기준금리 사상 최저로 인하 한은은 3월 16일 임시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를...
-
커버스토리
코로나19의 공습…우리 일상을 바꾸다
직장인 김정미 씨(40)는 최근 며칠 동안 집 밖에 한 발짝도 나가지 않았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확산되면서 회사의 재택근무 권고도 있었지만 굳이 외출할 필요가 없어서다. 아침 식사는 식자재 새벽배송업체 마켓컬리에서 전날 주문한 반조리 식품으로 해결했고, 점심은 배달업체 배달의민족에서 시켜먹었다. 온라인으로 개학하는 아이들에겐 학교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강의를 듣도록 했다. 퇴근 후 들렀던 요가원은 홈트레이닝으로 대체했다. ...
-
김동욱 기자의 세계사 속 경제사
독일에 넘어간 배달의민족, 요기요 한 식구 됐는데…글로벌 시장서 혁신 이어갈까…독점 피해 커질까
오늘은 배달의민족 합병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배달의민족을 독일 배달기업인 DH가 인수하기로 했습니다. 배달의민족. 음식배달 주선 업체죠. 스마트폰에서 앱을 내려받아 설치하고 원하는 식당과 음식을 고른 후 결제하면 됩니다. 참 편리한 세상입니다. 할인쿠폰도 많이 주더라고요. 그런데 이 배달의민족이라는 신생기업을 DH라는 독일 배달기업이 인수하기로 했습니다. DH가 87%를 인수한 겁니다. 가격을 4조원이나 주고 말입니다. 세계적으로 뜨...
-
경제 기타
사상 초유의 온라인 개학…수능도 12월3일로 2주 연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사상 처음 전국 모든 초·중·고교가 순차적으로 ‘온라인 개학’을 하게 됐다. 대학수학능력시험도 2주 연기돼 12월 3일 치러진다. 고3과 중3이 지난 9일 온라인 개학을 한 데 이어 고1·2와 중1·2는 16일부터 수업을 시작한다. 학교를 가지 않고 △실시간 쌍방향 수업 △콘텐츠 활용 중심 수업 △과제 수행 중심 수업 등으로...
-
커버스토리
팬데믹이 뭐길래…전염병, 세계 역사를 움직였다
1980년 5월 8일 세계보건기구(WHO)가 ‘천연두 종식’을 선언했을 때만 해도 인류는 ‘전염병과의 전쟁’에서 승리했다고 믿었다. 하지만 착각이었다. 2003년 사스(중증 급성호흡기증후군)를 시작으로 2009년 신종 인플루엔자(신종플루), 2015년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2016년 지카바이러스에 이어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까지 21세기 들어서도 인류를 위협하는 대규모 전염병...
-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굴종의 역사관' 버리고 21세기 정체성 다시 찾자
인류 역사를 살펴보면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집단·민족·국가가 붕괴한 뒤 사라졌다. 칭기즈칸이 토대를 마련한 ‘대몽골 세계(ULUS)’도 불과 150년 남짓 존재했을 뿐이다. 거대해 보이는 중국사도 ‘국가’와 ‘한족(漢族)’ 단위로 좁혀 보면 실은 패배와 굴종의 역사였다. 하지만 우리는 비슷한 역사공동체로서 장기간 존재해온 세계에서 몇 안 되는 민족이다. 항...
-
시사 이슈 찬반토론
산업 구조조정 원칙 제대로 세우는 게 무엇보다 중요
[사설] 부실기업 지원, 정치 말고 자립능력과 자구노력만 봐야 쌍용자동차가 대주주인 인도 마힌드라그룹이 신규 투자계획을 백지화하면서 다시 생사의 기로에 몰렸다. 마힌드라는 연초 쌍용차에 2300억원의 자금을 투입하겠다는 의사를 밝혔지만 ‘코로나 사태’를 빌미로 불과 두 달여 만에 없던 일로 만들고 말았다. 임시 운영자금 400억원을 지원하겠다고 생색을 냈지만 한 해 인건비의 10%에도 못 미치는 금액이어서 경영난을 막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