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가 정신에서 자주 언급되는 '창조적 파괴'를 제시한 슘페터는 사회 발전의 원인을 기업가의 혁신으로 꼽았지만, 마땅한 수학적 증명을 못 했기 때문에 케인스에 비해 낮은 평가를 받는다.
[생글기자 코너] 경제학의 모순과 비주류 경제학
애덤 스미스의 고전학파를 이어온 케인지언들과 레이거노믹스를 바탕으로 성장한 신자유주의자들(통화주의자)을 주류경제학자라고 분류한다. 경제관계자들은 폭넓은 분야에서 이들을 연구하고 활용한다. 주류 경제학에서는 ‘합리적 인간관’을 중심적 가치관으로 삼는다. 그러나 실생활에 대입하기엔 모순점이 많다.

경제학의 세계에서 인간은 이기적으로 생각하고 행동한다. 감정적이거나 비효율적인 행위는 발생하지 않는다. 합리적 사고하에 모든 것을 수치화해 비교하고 계량하는 학문이 경제학인 것이다. 그런데 개인마다 다른 주관적 효용은 어떻게 계산할 것인가. A는 1박 2일로 여행을 다녀온 후 100만원에 상응하는 행복을 느꼈지만, B는 30만원밖에 느끼지 못했다면. 개인의 효용을 수치화하는 과정에서는 주관이 개입할 수밖에 없다.

경제학에서 행복지수를 계산하는 수식은 다음과 같다. [행복지수=충족시킨 욕구의 양/충족시키려는 욕구의 양]. 만일 모든 사람의 효용 척도를 통일한다고 해도 우리는 영원히 행복할 수 없음을 반증하는 수식이기도 하다. 충족시키려는 욕구의 양은 무한하다. 그러나 충족시킨 욕구의 양, 즉 우리가 충족시킬 수 있는 욕구의 양은 한정돼 있다. 재화와 자원이 한정돼 있기 때문이다. 결국 분모가 무한, 분자가 상수이므로 0에 수렴한다. 경제학적으로 인간은 행복할 수 없는 것이다. 이 또한 모순이다.

경제학자들은 기존 경제학에서 발견된 모순점들을 어쩔 수 없이 용인한다. 이 때문에 최근 비주류 경제학들이 반짝 조명을 받기도 한다. 특히 행동경제학의 경우 기존 경제학에서 기대하기 힘들었던 비합리적 소비에 마땅한 근거를 가치 함수나 수식으로 증명함으로써 경제학계에 반향을 불러일으킬지 귀추가 주목된다.

많은 경제학자는 케인스와 슘페터를 평가하는 기준에서 ‘수학적 증명’을 꼽는다. 케인스는 수정자본주의의 창시자로 루스벨트 정권 당시 유효 수요 이론을 수식으로 증명했다. 반면, 기업가 정신에서 자주 언급되는 ‘창조적 파괴’를 제시한 슘페터는 사회 발전의 원인을 기업가의 혁신으로 꼽았지만, 마땅한 수학적 증명을 못 했기 때문에 케인스에 비해 낮은 평가를 받는다.

양승민 생글기자(대전고 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