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사어('지금처럼')를 써서 이의 수식을 받는 서술어('고공행진하다')를
도드라지게 하면 전체 구성에 운율이 생긴다. 문장에 힘이 생기고 글도
자연스럽게 흘러간다. 주어를 바꾸고 부사어를 활용해 능동형으로 쓰는 게 요령이다.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부사어를 쓰면 문장에 리듬이 생기죠
전국 곳곳에서 재·보궐 선거가 치러진 지난 4월 7일은 제65회 ‘신문의 날’이기도 했다. 구한말 기울어가는 국운 속에서 우리나라 최초의 민간신문인 ‘독립신문’이 탄생했다. 그날이 1896년 4월 7일이다. 언론인들의 ‘생일’이라고 할 수 있는 신문의 날은 이날을 기념해 제정됐다. 명사 많이 쓰면 ‘압축성’ 좋아도 ‘서술성’ 떨어져독립신문은 한국 언론사(史)에서 국어사적으로도 큰 획을 그었다. 우리나라 신문 최초로 한글로만 쓰고, 띄어쓰기를 도입했다는 점에서다. 창간 사설에서 한글로만 쓰는 이유를 “상하귀천이 다 볼 수 있게 하기 위해서”로, 띄어쓰기는 “누구나 말을 알아보기 쉽게 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독립신문의 ‘알기 쉽게 쓰기’ 정신은 120여 년이 지난 요즘 글쓰기에도 유효하다.

첨가어인 우리말은 조사나 어미 변화로 문장 성분을 만들고 운율도 준다. 그러면서도 조사나 어미를 떼어내고 명사만으로도 의미 전달이 가능하다. 이런 경우 글자 수를 줄이면서 개념만으로 의미 표현을 할 수 있으므로 압축 효과도 기대된다. 그래서인지 글쓰기에서 명사(또는 명사구) 사용의 유혹은 끊임없이 일어난다.

예를 들어보자. “정부는 이번 사태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 “주가가 1년 전에 비해 2배로 올랐다.” 흔히 볼 수 있는 이런 문장은 명사를 사용해 다음같이 줄일 수 있다. “정부, 사태 심각 인식.” “주가, 1년 새 2배 상승.” 이 같은 명사 나열체는 그 자체로 ‘의미의 압축성’과 우리말 특성인 ‘서술성 확보’ 간 역(逆)관계에 놓여 있음을 보여준다.

일반적인 글쓰기에서는 ‘문장 서술성’을 확보하느냐에 따라 좋은 문장과 나쁜 문장이 갈린다. 명사 풀어 쓰기는 숨어 있는 성분들을 드러내고 서술성을 살린다. 이는 곧 문장을 구어체에 더 가깝게, 말하는 것처럼 쓴다는 뜻이다. 능동의 주체를 살려 쓸 수 있다는 것도 큰 장점이다. 자연히 불필요한 피동 구문의 남용에서도 벗어날 수 있다. 관형어 줄이고 부사어 써야 서술어 살아나이제 실전에서 응용해 보자. 아파트 가격이 급등하니까 부동산 규제책이 잇따라 나왔다. 이에 따라 다음 같은 문장도 예사롭게 말하고 쓴다. “지금의 강남 아파트 가격 고공행진이 계속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이 문장에서 짜임새를 헐겁게 하는, 약한 고리는 어디일까? 세 군데를 짚을 수 있다. 우선 내용을 이루는 어휘만 추려보자. ‘지금’ ‘아파트 가격’ ‘고공행진’ ‘계속되다’ ‘의문이다’로 정리된다. 첫째 ‘고공행진’을 문장 주어로 잡다 보니 필연적으로 서술어가 ‘계속되다’, 즉 피동 구문이 됐다. ‘고공행진이 계속된다’? 이런 표현은 아주 어색하다. 둘째, ‘강남 아파트 가격 고공행진’이라는 명사 나열 구성도 눈에 거슬린다. 너무 딱딱하다. 셋째, 이를 ‘지금’과 연결하면서 관형격 조사 ‘-의’를 쓴 부분도 자연스럽지 않다.

한국경제신문 기사심사부장
hymt4@hankyung.com
한국경제신문 기사심사부장 hymt4@hankyung.com
‘-의’ 관형어는 습관적으로 붙이는 경우가 많다. ‘의’로 연결된 부분을 부사로 바꾸고, 명사 나열 부분(‘강남 아파트 가격 고공행진’)을 갈라 주체를 살려보자. 화자의 의도는 ‘강남에 있는 아파트 가격이 계속 고공행진할 수 있을까’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글쓰기에서는 이를 그대로 옮기면 된다. “지금처럼 강남 아파트 가격이 계속 고공행진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부사어(‘지금처럼’)를 써서 이의 수식을 받는 서술어(‘고공행진하다’)를 도드라지게 하면 전체 구성에 운율이 생긴다. 문장에 힘이 생기고 글도 자연스럽게 흘러간다. 주어를 바꾸고 부사어를 활용해 능동형으로 쓰는 게 요령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