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로 읽는 경제학
시네마노믹스

(22)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할리우드(上)
끼리끼리 모여있을 때 더 커지는 '집적의 이익'…기회와 낭만의 땅 그 자체인 할리우드의 매력
“그럼 요즘 자네, 계속 단역만 하고 있는 건가?”

할리우드의 캐스팅 디렉터인 마빈(알 파치노 분)은 한물간 액션배우 릭(리어나도 디캐프리오 분)에게 묻는다. 한때 서부 영화 주연으로 잘나갔지만 인기를 잃고 하락세를 타고 있는 릭은 의기소침하게 답한다. “뭐, 그렇죠. 악역이에요.” “격투 신에선 매번 지고?” “당연하죠. 악역인데.” “풋풋한 놈들한테 얻어터지다 보면 자네 이미지는 그렇게 고정돼버리는 거야. 릭, 다음주엔 어떤 놈한테 맞을 건가?” 1969년 할리우드는‘원스 어폰 어 타임…인 할리우드’는 1969년 할리우드를 충격에 빠뜨렸던 ‘샤론 테이트 사건’을 재구성해 만든 영화다. 황금기로 불렸던 1940~1950년대를 지나 격변의 시기를 맞이한 1960년대 후반 할리우드를 배경으로 한다. 캐스팅을 기대했던 릭은 마빈과의 미팅에서 큰 소득 없이 돌아온다. 자신의 전속 스턴트맨이자 로드매니저인 클리프(브래드 피트 분) 앞에서 울먹인다. “난 이제 끝이야. 한물갔어. 아주 대놓고 뼈 때리더라.”

그래도 릭이 희망을 잃지 않는 이유가 있다. 여전히 할리우드에서 일하고 있기 때문이다. 작은 악역이라도 괜찮다. 할리우드에 있는 한 다시 기회가 올 것이라고 믿는다. 릭은 스타 감독인 폴란스키와 그의 부인이자 배우인 샤론(마고 로비 분)이 자신의 이웃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일이 더럽게 안 풀려도 지금 내 옆집에 누가 사는지 봐. 세상에서 가장 핫한 감독이 산다고.”

감독과 배우뿐만이 아니다. 촬영기사, 스턴트맨, 소품 담당자, 캐스팅 매니저까지…. 영화를 꿈꾸는 이들은 할리우드에 모여든다. 폴란스키 감독의 아내인 샤론도 마찬가지다. 연기를 하겠다는 목표를 위해 할리우드에 입성한 인물이다. 재능있는 배우인 샤론은 자신이 출연한 영화를 보기 위해 극장을 찾으며 즐거워한다. 사진을 찍어달라는 팬의 요청에 영화 포스터 앞에서 선뜻 포즈를 취해주기도 한다. 릭은 배역을 따낼 수 있을까미국 로스앤젤레스(LA)에 있는 할리우드는 영화 중심 클러스터(집적지)다. 2019년 기준 미국의 영화시장 규모만 113억2000만달러(약 13조8000억원). 할리우드는 세계의 반짝이는 인재들을 끌어들인다. 이렇게 특정 산업과 관련한 회사와 종사자들이 한데 모이면 긍정적인 효과가 생긴다. 이를 ‘집적의 경제’라고 한다.

끼리끼리 모여있을 때 더 커지는 '집적의 이익'…기회와 낭만의 땅 그 자체인 할리우드의 매력
회사들이 집적으로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이익은 중간재 생산요소를 공유하면서 생긴다. 할리우드로 치면 영화 소품업체와 음악회사, 시나리오 작가 등이다. 영화 제작사는 이를 공유하면서 생산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섬유산업이 발달한 서울 동대문 근처에 의류 상점들이 입점해 있는 것과 마찬가지다. <그래프>처럼 집적으로 생기는 이익이 불이익을 넘어설 때까지 집적화는 계속된다. 중간재 업체의 결과물이 만족스럽지 않으면 회사는 근처의 또 다른 거래처를 찾으면 된다. 노동자로서도 이직과 구직이 쉽다. 릭이 폴란스키가 자신의 이웃이라는 사실을 알고 기뻐하는 것도 할리우드라는 집적된 환경을 이용해 배역을 따낼 수 있을 것이란 기대 때문이다. 영화계는 스타를 사랑하지만집적 수준이 높은 할리우드에선 그만큼 ‘스타 쏠림 현상’도 일어난다. 비슷한 회사들이 모여 있어 특정 인재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 회사 간 경쟁이 벌어지고, 결국 해당 인재의 몸값 인상으로 이어진다. 게다가 영화라는 상품은 개봉 전까진 소비자의 반응을 예상하기 어렵다. 그래서 영화 제작사들은 어느 정도의 수요를 담보해주는 스타들을 찾게 된다. 릭이 마빈과의 미팅 후 눈물을 보인 건 자신이 이 같은 스타 시스템에서 밀려났다는 사실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어떤 영화는 주연급 스타 한 명의 출연료가 총제작비의 30%를 넘기도 한다. 일각에선 주연 배우의 출연료가 제작비의 20%를 넘지 않도록 제한하는 일종의 ‘샐러리캡’을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스타 한 명을 캐스팅하기 위해 지나치게 큰돈이 들어가면 다른 배우의 출연료가 깎이거나 꼭 필요한 다른 예산이 줄어들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할리우드의 집적 경제는 곧 규모의 경제로 이어지기도 한다. 한 영화 제작사가 비용 문제에 부딪혔을 때 다른 제작사와 협업해 제작비를 마련하는 식이다. 고정비용(생산량과 상관없이 드는 비용)이 크고 한계비용(생산물 한 단위를 추가로 생산할 때 드는 비용)은 작은 영화산업의 특징 때문이기도 하다. 영화는 한 번 제작할 때 막대한 초기 자본이 필요하다. 하지만 작품을 완성한 뒤엔 여러 차례 상영한다고 해서 추가로 큰돈이 들어가진 않는다. 즉 규모의 경제를 통해 대형 영화를 만들어 제작비를 회수하고 나면 이후 흥행 수입은 거의 순이익이 된다.

고은이 한국경제신문 기자 koko@hankyung.com NIE 포인트① 생산을 늘려 단위당 생산비용을 줄이는 ‘규모의 경제’가 어느 시점에서는 생산을 늘리면 오히려 단위당 생산비용이 늘어나는 ‘규모의 비경제’로 바뀌는 이유는 무엇일까.

② 1895년 프랑스 파리에서 뤼미에르 형제가 처음 영화를 상영한 뒤 프랑스 미국 영국 독일 등 각국에서 거의 동시에 영화산업이 출발했는데 미국 할리우드가 세계 영화시장을 선도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③ 소수의 대형 스타가 주도하는 영화와 다수의 중견 스타가 함께하는 영화가 공존하는 가운데 주연배우의 출연료를 제한하는 샐러리캡을 도입하는 것이 타당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