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하기와 글쓰기

▶국가 빚이 늘어나면 국가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토론해보자.
올 들어 선진국의 부채가 크게 불어나 2차 세계대전 직후보다 심각한 것으로 분석됐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극복을 위한 경기부양책으로 재정 지출이 대폭 증가한 탓이다.

[숫자로 읽는 세상] 빚더미에 깔린 선진국…2차대전 후 '최악 부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달 23일(현지시간) 국제통화기금(IMF) 자료를 인용해 지난달 세계 국내총생산(GDP) 대비 선진국의 부채 비율이 128.2%까지 치솟았다고 보도했다. 2차 세계대전이 끝난 직후인 1946년에 세운 기록(124.1%)을 갈아치웠다. IMF는 내년에도 이 비율이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IMF는 한국을 비롯해 미국, 일본 등 39개국을 선진국으로 분류하고 있다.

선진국들은 최근 코로나19와의 전쟁에 엄청난 돈을 쏟아붓고 있다. 조지 W 부시 전 미국 대통령 재임 시절 백악관 경제자문위원장을 지낸 글렌 허바드 컬럼비아대 경영대학원 명예학장은 “우리는 바이러스와의 전쟁을 치르고 있고, 재정 지출은 큰 문제가 아니다”고 말했다. 일례로 코로나19 경기 부양책 때문에 미국은 2020회계연도(2019년 10월~2020년 9월) 연방적자를 2차 세계대전 당시보다 많은 3조7000억달러로 예상하고 있다.

국가 부채가 줄어드는 속도는 2차 세계대전 이후에 비해 턱없이 느릴 전망이다. 세계대전이 끝나고 10여 년 뒤인 1950년대 후반 선진국들의 부채 비율은 50% 미만으로 떨어졌다. 미국 경제가 연 4%, 독일과 일본이 연 8%가량 성장하는 등 전후 경제 성장 덕분이었다. 그러나 최근 주요 선진국의 연평균 GDP 증가율은 1~2% 남짓이다. 베이비붐으로 젊은 인구가 늘었던 1950년대와 달리 최근 선진국에서는 저출산으로 노동력이 감소하고 있다.

부채 증가는 선진국뿐만 아니라 신흥국도 마찬가지다. 전 세계 GDP 대비 신흥국 부채 비율은 최근 62.8%까지 올라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1946년 46.9%였던 신흥국 부채 비율은 1989년 56.1%를 찍었다가 이후 하락세를 보였지만 올 들어 코로나19 여파로 다시 상승했다.

이고운 한국경제신문 기자 cca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