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정의선 수석부회장
삼성·SK·LG 총수와 회동

'더 멀리 가고 안정적' 제품 개발
미래 기술 확보 전면전 돌입
글로벌 제조사도 대규모 투자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수석부회장(왼쪽)과 구광모 LG그룹 회장이 지난달 22일 충북 청주시 LG화학 오창공장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정 수석부회장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등과도 만나 전기차 배터리 관련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LG그룹 제공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수석부회장(왼쪽)과 구광모 LG그룹 회장이 지난달 22일 충북 청주시 LG화학 오창공장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정 수석부회장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등과도 만나 전기차 배터리 관련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LG그룹 제공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수석부회장은 지난 5월 13일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을 만났다. 두 사람이 공개적으로 별도 면담을 한 건 이날이 처음이었다. 정 수석부회장은 지난달 22일 구광모 LG그룹 회장도 만났다. 조만간 최태원 SK그룹 회장도 만날 예정이다.

국내 1~4위 기업 총수들이 릴레이 회동을 한 이유는 뭘까. 다름 아닌 전기자동차 배터리다. 현대차그룹은 자동차를, 삼성 SK LG는 배터리를 생산하고 있다. 전기차와 배터리가 한국의 미래 먹거리가 될 것이라는 판단에 이들 총수가 만나 힘을 모으자고 ‘의기투합’했다는 분석이다. 일부 전문가는 전기차 배터리가 ‘제2의 반도체’가 될 것으로 전망한다. 그만큼 성장성이 크다는 설명이다.1조원도 부족하다…배터리 투자 전쟁국내외 배터리 제조사들이 미래 배터리 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전면전’에 들어갔다. 가파르게 성장하는 배터리 시장에서 주도권을 잡아야 한다는 판단에서다. ‘배터리 전쟁’에 회사의 명운, 나아가 대한민국 제조업 경쟁력이 걸렸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한다.
충북 청주 LG화학 오창 전기차 배터리 생산라인.  LG화학 제공
충북 청주 LG화학 오창 전기차 배터리 생산라인. LG화학 제공
배터리 전쟁의 목표는 ‘더 멀리 가고, 더 오래 사용할 수 있고, 더 안정적인’ 제품을 먼저 개발해 양산하는 것이다. 글로벌 배터리 제조사들은 기술 개발에만 매년 조(兆) 단위의 비용을 쓰고 있다. LG화학은 지난해 연구개발(R&D)에 1조1300억원을 투자했는데, 이 중 3분의 1 이상이 전기차 배터리에 투입된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파나소닉은 지난해 44억3000만달러(약 5조3000억원)를 연구개발에 썼는데, 이 중 20%가량이 배터리 분야에 들어갔다고 한다. 삼성SDI는 7124억원을 배터리 연구에 썼다. 작년 매출의 7%가 넘는 금액이다.

시설 투자에는 더 많은 돈을 쏟아붓고 있다. 기술 개발뿐만 아니라 공급 능력을 확보하는 것도 중요하다는 판단에서다. LG화학은 2018년 이후 공장 설립에 8조8000억원을 투입했다. SK이노베이션도 지금까지 7조원을 공장 설립에 투자했다. 이 회사는 지난달 25일 미국 조지아주 정부와 배터리 2공장 투자협약도 체결했다. 9억4000만달러(약 1조1000억원)를 투자해 2공장을 세우는 내용의 협약서에 서명한 것이다. 2공장은 2023년 가동된다. 중국 CATL은 올해에만 22억달러(약 2조6000억원)를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충남 서산 SK이노베이션의 전기차 배터리 공장.  SK이노베이션 제공
충남 서산 SK이노베이션의 전기차 배터리 공장. SK이노베이션 제공
글로벌 자동차업체들도 배터리 시장에 뛰어들 채비를 하고 있다. 배터리는 전기차의 성능을 좌우하는 핵심 부품이다. 전기차 가격의 3분의 1 정도를 배터리가 차지한다. 이런 시장을 화학회사에 전부 내줄 순 없다는 생각을 일부 자동차 제조사가 하기 시작했다.

미국 전기차업체 테슬라는 공공연하게 독자 배터리 생산 가능성을 거론하고 있다. 파나소닉에서 배터리를 구입하고 있는 테슬라는 지난해 배터리 회사 맥스웰을 2억3500만달러에 사들였다. 최근엔 CATL과 공동으로 100만마일(약 160만㎞) 거리 수명의 배터리를 장착한 차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BMW와 도요타 등도 자체 배터리 기술 개발에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다. 한 전문가는 “많은 자동차 제조사가 배터리를 독자적으로 생산하고 싶어하지만, 기존 거래처와의 관계가 끊어질까봐 조심스러워하고 있다”고 설명했다.배터리 세계 빅5 중 두 곳이 한국 업체세계 전기차 배터리 시장은 LG화학과 파나소닉, CATL 등 소수 업체가 주도하고 있다. 전기차 배터리를 양산할 수 있는 국가는 한국 중국 일본 등 3개국이 전부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의 조사 결과를 보면 올해 1~4월 세계 전기차 배터리 시장 점유율 1위 업체는 LG화학이다. LG화학은 올 들어 처음으로 1위에 올랐다. 2위는 일본 파나소닉이었다. 3위와 4위는 중국 업체인 CATL과 비야디(BYD)가 차지했다. 삼성SDI는 5위, SK이노베이션은 7위였다.

세계 5대 배터리 제조사 중 두 곳이, 10대 제조사 중 세 곳이 한국 기업인 셈이다. 전기차업계에서 “세계 5대 자동차 제조사인 현대차그룹과 글로벌 시장에서 앞서나가고 있는 한국 배터리 회사들이 힘을 모으면 그 파괴력이 막강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정의선 수석부회장과 이재용 부회장, 구광모 회장, 최태원 회장의 회동이 주목받는 것도 이 때문이다.

현대차와 기아차는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 배터리를 쓰고 있다. 아직 삼성SDI 배터리를 쓴 적은 없다. 국내 1, 2위 기업인 삼성과 현대차의 경쟁의식 때문이라는 해석이 많다. 삼성이 과거 완성차 제조업에 뛰어들면서 현대차와 사이가 틀어졌다고 보는 이도 많다. 이번 정 수석부회장과 이 부회장의 만남이 이런 분위기를 바꾸는 계기가 될지도 재계의 관심사 중 하나다.

도병욱 한국경제신문 산업부 기자 dodo@hankyung.comNIE 포인트1. 철강, 에틸렌, 반도체에 이어 전기차 배터리가 ‘산업의 쌀’로 불리는 이유는 무엇일까.

2. 현대자동차그룹과 삼성·LG·SK그룹 등 한국 기업끼리 전기차 배터리 개발을 위해 협력하는 것이 글로벌 기업과 경쟁하는 데 유리하다면 그 이유는 뭘까.

3. 교통사고가 발생하거나 충전 과정에서 폭발할 가능성이 있음에도 수소전기차와 수소충전소 보급을 늘려야 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