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원순 한국경제신문 논설위원
[한경 사설 깊이 읽기] 관광은 일자리 창출효과 큰 高부가가치 산업이죠
[사설] "국가전략이 안 보인다"는 관광, 정부는 각성해야

한경의 ‘펄펄 나는 일본 관광, 주저앉은 한국 관광’(3월 15일자 A1, 5면, 16일자 A9면) 기획기사는 ‘관광 한국’의 실상을 잘 보여줬다. ‘굴뚝 없는 공장’이라는 관광산업에서 정체상태인 우리나라와 달리 일본은 최근 몇 년 새 비약적 성장을 하고 있다. 문화 숙박 교통 음식 등으로 전후방 파급효과가 큰 관광산업의 발전을 위해 민관 모두 더 고민해야 할 상황이다.

지난해 일본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은 3119만 명으로, 한국(1534만 명)보다 2배나 많다. 2009년부터 2014년까지 계속 한국 방문객이 많았으나 완전히 역전됐다. 아베 신조 총리가 집권한 2012년의 836만 명과 비교하면 일본의 성과는 놀랍다. 전문가들은 “아베 총리가 챙겨온 육성정책과 규제완화가 거둔 성과”라고 분석하고 있다. 아베 총리는 관광만을 주제로 장관 전원이 참석하는 ‘관광입국추진각료회의’를 해마다 2차례 주재하고 있다. 2003년 전 정권이 수립한 ‘관광입국 계획’을 계승 발전시켜 왔다는 평가도 받고 있다.

현 정부 들어 국가관광전략회의를 총리 주재로 격하시키고, 청와대의 관광진흥비서관도 없앤 한국과 대조적이다. 관광활성화, 여행인프라 선진화 과제를 정부가 다 하는 것은 아니겠지만, 관광에 대한 정부의 관심도는 충분히 짐작할 만하다. 휴가비 지원 등을 통한 국내여행 장려 정책이 부각되면서 “정부가 관광을 산업보다 복지 등 공공 측면에서 이해하고 있다”는 비판도 나온다. 한마디로 ‘전략 부재’다.

세계적으로 개방과 교류가 확대되고 소득이 증대되면서 해외여행객이 늘어나고 관광산업도 커지게 돼 있다. 더 많은 해외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한 ‘종합 서비스 행정’이 절실하다. 한류문화 육성, 다양한 쇼핑, 숙박과 이동에 불편 없는 인프라 구축 등 산업 육성 차원에서 정부가 할 게 많다. ‘사드 보복’ ‘엔저(低)’ 같은 구실찾기에 앞서 우리 스스로 해야 할 일이다. 설악산 관광 케이블카, 화성 유니버설 스튜디오 같은 보류된 프로젝트도 다시 논의해보자. <한국경제신문 3월 18일자>

사설 읽기 포인트

해외로 나가는 사람은 점점 늘어
외국인 관광객 유치하려면
불필요한 규제 과감히 풀어야


[한경 사설 깊이 읽기] 관광은 일자리 창출효과 큰 高부가가치 산업이죠
개방의 확대, 교류의 다양화는 전 세계적 현상이다. 경제 성장이 더디거나 때로는 정체되기도 하지만, 소득은 증가하고 있다. 소득 증가에 따르는 필연적 부수 현상의 하나가 여행의 증가다. 특히 해외여행이 늘고 있다. 명승지를 찾아, 역사와 스토리를 찾아, 문화체험을 위해, 맛집 탐방을 위해…. 최근 경제성장이 돋보인 중국인들의 가파른 해외여행 증가 추세는 이런 사실을 여실히 보여준다. 유럽이나 미국 등지에서는 멋진 해외여행을 위해 1년 내내 열심히 일하고 기꺼이 저축하는 중산층 서민층이 오래전부터 두텁다.

한국인들은 열심히 나가고 있다. 해외여행에 제약이 없고, 어렵다지만 주머니 사정이 이전보다 좋아진 것도 사실이다. 근본은 문화가 바뀐 것이다. 청년백수도 비정규직 아르바이트 몇 달이면 웬만한 곳에는 다녀올 수 있다. 문제는 우리는 해외여행객을 얼마나 불러들일 수 있는가 하는 점이다. 국내에서 소비가 살아나지 않고, 내수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많아지는 경기 불황기에는 외국인 관광객 유치가 경제 활력화에 적지 않은 돌파구가 될 수 있다. 단순히 여행수지에서 적자냐 흑자냐 이상의 경제 이슈가 될 수 있다.

관광은 부가가치가 높은 산업으로 분류된다. 숙박 음식 교통 문화 쇼핑 등 서비스산업이기 때문에 일자리 창출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는 게 관광산업이다. 제조업의 대규모 시설 투자와 달리 이런 일자리는 고용창출을 위한 투자자금도 상대적으로 소규모로 가능할 것이다.

‘경제살리기’를 주창하고 나섰던 일본의 아베 정부가 관광산업 가치에 주목한 것도 그런 이유에서 일 것이다. 관광 자원이 적지 않은 데다, 콘텐츠의 질도 좋고, 먹거리 체험거리도 충분하니 이를 국가차원에서 잘 엮어 해외의 관광객을 불러들인 것이다. 숙박 등에서 과감한 규제혁파도 일본 정부가 택한 주목할 만한 전략이다. 일본 정부의 관광산업 육성 전략 중 눈에 띄는 것 하나는 재방문율을 높여보려는 것이다. 일단 일본을 방문한 관광객이 다시, 자주 찾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근래 한국에서 젊을 층을 중심으로 일본 방문객이 계속 늘어나면서 몇 차례씩 반복 방문자가 증가하는 현상도 그런 맥락에서 볼 수 있겠다.

한국도 한때 ‘한류 문화’ 등을 내세워 관광산업 발전을 꾀했다. 하지만 지속적이지 못하다. 더구나 문재인 정부 들어 그 중요성에 대해 덜 주목하고 있는 것 아닌가 하는 의구심이 제기되고 있다. 관광산업은 문화를 판매하는 종합서비스 산업이다. 멋진 뮤지컬 하나 보려고 멀리 뉴욕과 런던으로 가는 세상이다. 맛기행한다며 홍콩까지 가는 시대다. 하지만 스위스의 알프스 정상에도 대규모로 설치된 케이블카가 설악산에는 안 되는 게 한국이다. 우리보다 뒤늦게 시작한 중국 상하이의 디즈니랜드가 관광객들을 끌어모으고 있으나 경기 화성시에서의 유니버설 스튜디오는 수년간 논의만 반복되다 무산돼버린 게 한국의 관광 현실이다. 민관이 함께 노력해야 할 일이지만, 정부가 좀 더 적극적으로 나설 필요가 있다.

huh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