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은 유한성과 편재성 그리고 가변성을 갖고 있다. 이 말을 풀어보면 자원의 양에는 한계가 있고 고르게 분포되어 있지 않아서 인간의 욕구에 비해 양이 부족하며 시대, 기술, 대체자원의 발생에 따라 자원의 가치는 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자원의 무기화는 자원의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다른 나라에 정치적, 경제적으로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생글기자 코너] 유한하고 편재된 자원의 무기화에 대비해야
자원의 무기화 사례로는 중국의 일본에 대한 희토류 수출 제한 사례가 있다. 2010년 중국의 어선이 중국과 일본의 영토분쟁 지역인 센카쿠열도(댜오위다오) 인근 해역에 들어와 일본 해상보안청이 검문에 나섰는데 중국 어선이 도주하였고, 일본은 이 배를 나포해 중국인 선장을 체포했다. 중국은 이에 대해 강경하게 반발하였다. 중국 정부는 일본에 대한 희토류 수출 금지조치를 시행하였다. 희토류는 배터리 등 전자제품에 들어가는 매우 중요한 자원이다. 전 세계 희토류 생산량의 97%를 중국이 차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전자제품이 주요 수출품인 일본으로서는 큰 타격일 수밖에 없었다. 이에 위기를 느낀 일본을 중국인 선장을 석방하였다. 일본은 자원을 무기로 삼아 공격당했기 때문에 질 수밖에 없었다.

[생글기자 코너] 유한하고 편재된 자원의 무기화에 대비해야
우리나라는 자원에 대한 자체 생산량이 많이 없어 타국으로부터 많은 양의 자원을 수입하고 있기 때문에 자원을 이용해 정치적, 경제적으로 활용한다면 우리나라도 큰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자원의 무기화를 대비하고, 자원 수입 의존도를 낮추어야 한다. 이를 대비하기 위해 정부와 기업이 해외 광산 개발과 채굴권 구입에 나서는 등 자원 확보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또한 필수 자원의 대체재 개발에도 힘껏 나서야 할 것이다. 실제로 일본은 당시 중국에 당한 것을 생각하며 희토류 대체 자원 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선언하였고, 실제로 도요타는 희토류 사용 50%를 감소시킨 전기차 부품을 개발하였다. 석유 파동에서 경험했듯이 석유 같은 필수재가 무기화된다면 매우 큰 타격을 입을 것이다. 이 때문에 자원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시급하다고 본다.

조창희 생글기자(충남삼성고 3년) choch33@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