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피노자의 범신론은 "모든 것이 신이며 신은 곧 자연"
그에겐 예속에서 벗어나 자연과 하나 되는 게 자유였죠
[김홍일쌤의 서양철학 여행] (29) 스피노자의 범신론
철학자 스피노자는 법칙이나 관습에 얽매이는 것을 싫어했다. 그는 모든 예속을 부정적으로 보 고 그것으로부터 벗어나 자유롭고자 했다. 심지어 그는 유대인 전통의 인격신을 부정하고 모든 것이 신이며 신은 곧 자연이라는 범신론을 주장하였다. 이런 이유로 그는 유대인이었지만 유대 인 사회에서 파문 결정을 받은 뒤, 저주받고 추방되어 가족과 친지들과의 만남뿐만 아니라 서신 왕래조차 불가능한 상황에 처했다.

범신론 주장···유대사회에서 파문당해

[김홍일쌤의 서양철학 여행] (29) 스피노자의 범신론
하지만 이런 사건은 오히려 스피노자가 자초한 셈이다. 그는 유대교의 억압 아래 고독한 운명 속에서 철학적 자유를 꿈꾸었기 때문이다. 자신의 주장을 표명함으로써 그는 어떠한 일이 일어날지 알고 있었고 이를 선택한 것이다. 그는 “이성에 의해 인도되는 인간은 그가 살고 있는 법의 체계하의 상황에서보다 자신에게만 오직 복종하는 고독의 상태에서 더욱 자유롭다”고 말했다. 이는 그가 자신의 이성에 따라 행동함으로써 전통적인 관습이나 개념들을 수동적으로 따르지 않겠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할 수 있었던 이유는 그가 예속에서 벗어나 ‘자유로움’을 얻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바로 인간의 존재 이유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모든 예속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사람이 될 수 있는가? 이는 스피노자 철학의 핵심 과제이다.

사과나무를 심겠다는 뜻은?

스피노자는 “내일 비록 세계의 종말이 온다 할지라도 나는 오늘 한 그루의 사과나무를 심겠다”라는 말을 한 것으로 유명하다. 이 말은 일반적으로 아무리 절망적인 상황이 오더라도 미래에 대한 꿈과 희망을 놓지 않겠다는 의지를 표현한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그러나 이 명언의 일반적 의미의 이면에는 스피노자 철학의 주요 개념인 ‘자유’라는 의미가 담겨 있다. 다시 말하면 그 명언은 종말이라는 부정적인 상황에서 오는 공포와 불안감에 매이기보다는 한 그루의 사과나무를 심는 것으로 자신의 ‘자유’를 찾겠다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여기서 스피노자가 말하는 ‘자유’라는 말은 우리의 상식을 벗어난다. 우리는 흔히 자유를 필연성과 대립되는 개념으로 생각한다. 그래서 우리는 필연성으로부터 벗어나서 자신의 의지에 의해 행동할 때 자유롭다고 말한다. 그러나 스피노자에 의하면 이러한 생각은 착각이다. 예컨대 우리가 물을 마실 때 우리는 나의 자유 의지로 물을 먹고 싶어서 먹는다고 생각하지만, 스피노자가 보기에 그런 생각은 착각이다. 즉 우리의 육체가 수분이 부족하게 되고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필연적으로 물을 마시는 것인데, 우리는 우리가 자유롭게 선택하고 행위한다라고 착각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제 스피노자의 자유를 이해하기 위해 이제까지 알고 있던 자유를 넘어서야 한다. 이를 위해 그의 결정론적 관점을 살펴보자. “자연 가운데에는 하나도 우연적인 것은 존재하지 않으며, 모든 것은 일정한 방식으로 존재하고 작용하도록 신의 본성의 필연성에 의해 결정되어 있다. 사물은 현재 존재하고 있는 것과는 다른 어떤 방식이나 질서에 의해 신으로부터 존재할 수 없었다.”

자연과 하나돼야 평화

[김홍일쌤의 서양철학 여행] (29) 스피노자의 범신론
스피노자는 순수한 이성을 통해 우주에 대한 총괄적인 지식 체계의 정립을 시도하여 ‘신 즉 자연’이라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스피노자에 따르면 자연은 필연적으로 결정되어 운행된다. 쉽게 말하면 자연의 운행이 원인과 결과라는 필연으로 연결되어 운행되고 있다는 의미다. 이러한 결정론적 관점을 토대로 스피노자는 진정한 자유란 이성을 통하여 자연의 필연적 법칙을 인식하고 자연과 하나가 됨으로써 마음의 평화를 얻는 데 있다고 보았다.

스피노자는 “자연에 대해 의지가 전적으로 굴복하는 것이 가장 완전한 형태의 자유”라고 말한다. 누군가에게의 복종은 자유와 전적으로 모순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신에게, 그리고 신의 다른 모습인 자연에게의 복종은 완전한 자유이다. 신에 대한 그리고 신의 다른 모습인 자연에 대한 복종은 하나의 대상이 되는 것이 아니다. 역설적으로 복종함으로써 주체가 된다.

이러한 스피노자의 철학을 토대로 스피노자의 명언을 다시 해석해보면 그에게 지구의 종말이 온다는 것은 자연의 필연적 법칙이다. 이어서 나오는 ‘나는 한 그루의 나무를 심겠다’라는 말은 필연적 자연을 인식하고 자연과 하나가 됨으로써 마음의 평화를 유지시키겠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생각해 봅시다

그는 법칙이나 관습에 얽매이는 것을 싫어했다. 그는 모든 예속 을 부정적으로 보고 그것으로부 터 벗어나 자유롭고자 했다. 그 는 유대인 전통의 인격신을 부정 해 파문됐다. 철학의 길이란 무 엇일까?

김홍일 < 서울국제고 교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