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ver Story] 가난한 농촌 탈바꿈시킨 새마을운동…'한강의 기적' 이룬 정신적 원동력
대한민국이 ‘한강의 기적’이라는 경이적인 경제발전의 토대를 마련한 건 ‘경제개발 5개년계획’과 ‘새마을운동’이라는 양 날개 덕분이다. 경제개발 5개년계획이 정부 주도의 거시적이고 하향적인 경제정책이라면, 새마을운동은 미시적이고 상향적인 국민운동이라고 할 수 있다. 범국민적 지역사회 개발운동이라고 할 수 있는 새마을운동은 어떻게 전개돼 왔으며 어떤 역할을 했을까?

새마을운동 역사

새마을운동은 1970년 4월 당시 박정희 대통령이 전국 지방장관회의를 통해 ‘새마을 가꾸기’를 처음 언급하면서 농촌부흥을 위한 국가정책으로 시작됐다. 농촌 환경개선을 위한 새마을 가꾸기 사업으로 출발한 새마을운동은 이후 전 국민이 참여하는 운동으로 확대돼 1970년대 고도성장을 뒷받침한 정신적 원동력이 됐다.

새마을운동은 크게 3기로 나눠볼 수 있다. 1기는 1970년부터 1980년 12월 새마을운동중앙본부가 창립되기까지, 2기는 새마을운동중앙본부 창립에서 주관부서인 내무부의 새마을과가 국민운동지원과로 이름이 바뀐 1988년말까지, 3기는 1990년대 이후 최근까지로 구분할 수 있다. 1기는 국가 주도로 진행됐으며 2기 이후부터는 민간주도형 운동으로 바뀌었다.

1970년대 새마을운동은 크게 △농촌계몽(농민의 의식개혁) △농촌 생활환경 개선(마을환경 개선, 주택개량, 전기·전화 보급 등) △농촌 경제발전(농업 생산기반 구축, 농촌 소득증대) 등 세 영역에서 농촌 근대화를 완성했다고 할 수 있다. 새마을운동이 시작된 1970년대만 하더라도 농가소득은 연 25만5804원으로 도시가구소득(38만1240원)의 67%선에 불과했다.

하지만 새마을운동이 시작된 후 불과 4년만인 1974년엔 농가소득은 도시가구소득과 비슷한 수준에 이르렀다. 농어촌 저축률도 1960년대의 소득 대비 10% 수준에서 1970년대에는 20%로 늘어났다. 새마을운동은 농촌의 일자리를 늘리는 데도 큰 역할을 했다. 1972~80년 새마을사업에 투입된 인력은 연 18억 5800만명에 달한다.

새마을운동은 1979년 박정희 전 대통령의 사망과 제5공화국 출범을 계기로 새마을운동중앙본부를 중심으로 하는 민간주도운동으로 전환했다. 1980년대 새마을운동은 ‘관변운동’이라는 사회적 비판에 직면하면서 침체기를 맞았다. 한동안 침체되던 새마을운동은 1990년대 들어 사회공익활동을 강화하면서 다시 거듭났다. 그리고 2000년 이후엔 개도국들이 사회경제발전 모델로 새마을운동을 벤치마킹하면서 ‘가난한 나라도 잘 살 수 있는 길’로 각광받게 됐다.

‘우리도 잘살아보자’는 새마을정신

새마을운동은 ‘잘살아보세’라는 새마을운동 노래가 함축하고 있듯이 ‘잘살기 운동’이다. 마을을 변화, 발전시키자는 운동이다. 잘사는 마을이 되려면 먼저 마을에 사는 사람들이 바뀌어야 하고, 사람이 바뀌려면 사람이 갖고 있는 생각과 정신부터 바뀌어야 한다. 그래서 ‘근면, 자조, 협동’이라는 3대 새마을정신이 탄생했다.

농촌에서 일어난 새마을운동의 열기는 도시로, 공장으로, 직장으로 확산됨으로써 새마을운동은 잘살기 위한 국민정신운동이 됐다. 정갑진 새마을운동역사연구원장은 “새마을운동은 경제개발과 정신계발의 병행운동으로 대한민국 근대화의 원동력”이라며 “한국 사회는 이를 통해 크게 변화했다”고 말했다.

새마을운동에 대한 평가

지난달 31일 경주에서 개막된 제66차 유엔 NGO(비정부기구) 컨퍼런스는 “새마을운동이 농어촌과 도시 지역 간의 경제적 및 사회 기반적 격차를 줄이는 데 영향을 미친 모범적인 시민운동”이라며 “새마을운동을 (세계의) 빈곤퇴치와 개발의 모델로 제안한다”고 평가했다.

그러자 참여연대 등 국내 일부 시민단체는 “매우 편향적이거나 일방적인 시각에 근거했다”며 유엔의 평가에 동의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발표했다. 참여연대 등은 ‘새마을운동은 독재정권 유지를 위한 국가주도의 정신개조 운동’이었다며 정부가 새마을운동을 국제적으로 확산시키려는 정책을 재고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새마을운동이 박정희 정부가 통치 정당성만을 위해 추진한 정책일뿐이라고 평가하는 건 편협한 시각이라고 할 수 있다. 새마을운동은 정신혁명과 효율적인 정부 정책을 통해 가난에 찌든 농촌을 탈바꿈시켰다. 수많은 개도국의 공무원들이 한국을 방문하고 있고, 유엔이 지속가능한 개발의 본보기와 지구촌이 가난을 이겨내는 모델로 새마을운동을 꼽은 건 그만큼 새마을운동에 배울 게 있다는 뜻이다.

근면·자조·협동…새마을운동 이끈 정신혁명

새마을운동의 근간인 새마을정신은 ‘근면, 자조, 협동’으로 요약된다. ‘근면’은 부지런하자는 것이다. ‘일찍 일어난 새가 먹이를 잡는다’는 속담도 있듯 부지런해야 잘 살 수 있다.

[Cover Story] 가난한 농촌 탈바꿈시킨 새마을운동…'한강의 기적' 이룬 정신적 원동력
1인당 국민소득이 254달러 밖에 안돼던 1970년 당시 변변한 자원도 없는 한국이 잘 살 수 있는 길은 부지런하고 성실하게 역경에 굴하지 않고 한발한발 앞으로 나아가는 데 있었다.

둘째는 ‘자조’다. 스스로 돕는 정신이다. ‘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라는 말처럼 스스로의 힘으로 일어서려는 의지가 없으면 결코 가난에서 벗어날 수 없다. 자조는 일제의 폭압속에서 알게 모르게 몸에 밴 숙명적이고 패배주의적인 자기비하 의식을 없애려는 뜻도 담고 있다.

마지막은 ‘협동’이다. 잘살기 위해선 근면과 자조만으로는 안된다.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는 얘기처럼 서로 돕는 협동 정신이 발휘될 때 다 함께 잘 살 수 있다. ‘부지런하게 서로 도와 스스로 일어서려는’ 새마을정신은 지금 우리에게도 필요한 정신이라고 할 수 있다.

강현철 한국경제신문 연구위원 hc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