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 칼럼] 자신의 삶에만 충실한 젊은 세대
나 아닌 남 위한 감사의 선물하며
나눔의 작은 설렘을 느껴보길


[오피니언] 자신에게 선물하는 세대 등
한 해가 저물어 가는 요즘 인터넷에서 흥미로운 기사를 발견했다. “올 크리스마스나 연말에 자신에게 선물할 의향이 있는지” 물어본 결과 10명 중 7명이 “물론 그렇다”고 응답했다는 것이다. 자신에게 선물하고픈 아이템으론 명품 핸드백, 화장품 세트가 압도적 지지를 받았고, 뮤지컬 음악회 등의 공연이 뒤를 이었다 한다. 물론 2530세대 여성들 이야기다.

구세대로선 자신에게 선물한다는 아이디어가 꽤나 신선하게 다가오면서도 다른 한편으론 왠지 불편함을 숨길 수 없다. 아마도 선물 속에 필히 담겨야 하는 건 누군가를 향한 감사의 마음이나 정성스런 배려여야 한다는 고정관념 탓에 그럴 게다.

이 뜬금없는 고정관념은 어디서 왔을까 생각을 더듬다 보니 어린 시절 기억이 떠오른다. 해마다 이맘때 즈음이면 엄마는 털장갑 털모자 털양말 내복 등 겨울나기용 소품을 준비하시곤 했다. 어느 해인가는 당신이 직접 털목도리를 뜨기도 하셨다. 그렇게 준비한 조촐한 선물들은 아침저녁 신문배달을 해주던 코흘리개 소년에게, 사시사철 언덕길 오르내리던 연탄 배달부 아저씨에게, 죽은 아내를 대신해 아이들 홀로 키우며 살아가는 이웃의 아빠에게 건네졌다.

선물이란 타인을 위한 것이려니 생각해온 구세대로서, 자신을 위한 선물을 준비한다는 신세대의 상큼한 생각에 딴지를 걸고픈 이유가 있다. 공공장소에서 주위 시선은 아랑곳없이 애정표현을 서슴지 않는 것은 물론이요, 대중교통이든 엘리베이터든 타고 내릴 때 연장자에 대한 배려를 조금도 찾아보기 어려운 것이 요즘 젊은이들 세태일진대, 늘 자신을 중심으로 세상을 살아가노라니 선물도 자신에게 주고픈 마음이 이는 것 아니겠는지.

하기야 한국의 신세대만 그런 것은 아닌 듯하다. 사회 트렌드 자체가 국가와 민족을 앞세우거나 대의명분을 중시하던 것으로부터, 살아 숨 쉬는 개인의 실제 삶 자체에 관심을 모으고 실용과 실리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변화해가고 있음은 동서양의 차이가 없는 듯하다. 혹자는 이를 일컬어 자아(self)의 확대라 표현하기도 하고, 큰 구조(big structure)로부터 작은 이야기들(small narratives)로 패러다임 전환이 이뤄지는 중이라 하기도 한다.

자신의 삶에 지극히 충실한 세대를 향해 “선물이란 타인에게 감사를 표하는 것이란다” 식의 구태의연한 충고를 하고자 함은 아니다. ‘아프니까 청춘인 세대’엔 어쩌면 자신을 위한 선물이 일종의 ‘힐링’ 경험이 될 수도 있겠다. 이해가 되기도 한다. 그럼에도 정작 선물을 필요로 하는 이웃에 대한 관심은 찾아보기 어려운 듯하여 이들을 향한 아쉬움이 남고, ‘물질 가는 곳에 마음 간다’는 소비 자본주의의 폐해가 선물 항목에 너무 솔직히 드러나고 있어 걱정이 고개를 든다.

오래전 마흔 살 된 여성 여섯 명이 모여 책을 한 권 내곤 조촐하게 이를 기념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자리를 뜨기 전 글에 대한 보답으로 작은 항아리 선물을 받았는데, 그 항아리 속엔 수녀님들께서 직접 메주를 띄워 알맞게 곰삭힌 된장이 가득 담겨 있었다. 평생 잊을 수 없는 아름다운 선물로 기억되고 있음은 물론이다.

이병률의 산문집 ‘끌림’에는 이탈리아 여행길에 베네치아에서 머물렀던 한 민박집에서 뜻밖의 선물을 만났을 때의 잔잔한 감동이 실려 있다. 이 민박집에 머물다 떠나는 여행객은 다음에 올 여행객을 위해 선물을 남겨두고 간다는 게다. 한 번도 만난 적 없는 이로부터 예기치 않은 선물을 받던 때의 설렘도 좋았지만, 다시 미지의 누군가를 위해 선물을 준비할 때의 두근거림도 잊지 못할 추억이었노란 고백이다.

신문배달 소년도 연탄 배달부도 이젠 만나기 어렵지만, 누군가를 향한 감사의 마음이나 전하고픈 정성은 남아있을 터. 올해는 예전 엄마의 마음이 돼 무늬만의 선물이 아닌 ‘진짜’ 선물을 준비해야 할까 보다. ☞한국경제신문 12월 9일자 A 38면

함인희 < 이화여대 교수·사회학 hih@ewha.ac.kr >

----------------------------------------------------------------------------------------

[사설] 극단으로 치닫는 사회갈등…법치만이 해법

지난 주말 서울 도심에서는 좌우 진영 간 시위가 동시에 벌어졌다. 민주노총과 통합진보당 등은 서울역 광장 등에서 ‘정권 규탄 비상시국대회’를 열었다. 같은 시간 재향경우회 어버이연합 등 보수단체들은 광화문 일대에서 ‘반국가 종북세력 척결 국민대회’를 개최했다. 두 시위는 깊게 상처나고 갈라진 현재 한국사회의 모습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두 진영은 물과 기름처럼 소통이 불가능할 정도로 적대적 관계다.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믿고 싶은 것만 믿으며 나와 우리 편만이 옳다는 비뚤어진 선악 개념이 지배한다. 그러다 보니 해법을 찾기 위한 노력은 없고 상대방에 대한 증오만이 정국과 여론을 지배하고 있다. 오죽하면 나라를 둘로 쪼개야 할 판이라는 탄식까지 나오겠는가.

지난 주말의 시위는 사실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 광우병 촛불 시위부터 강정마을, 밀양 송전탑 등으로 이어지는 사회갈등은 갈수록 골이 더 깊어만 간다. 삼성경제연구소에 따르면 우리나라 사회갈등지수는 터키에 이어 OECD 두 번째다. 이로 인한 비용만도 연간 82조~246조원이다. 사회갈등의 원인은 다양하다. 문제는 정치가 이를 의도적으로 확대재생산한다는 데 있다. 장하나 민주당 의원이 어제 대선 불복을 선언한 게 대표적이다. 최근의 사회갈등은 정치적 극단세력이 만들어 내는 것들이 적잖다. 심지어는 사회전복을 획책하는 세력까지 버젓이 정치권에 똬리를 틀고 있다.

갈등을 다루는 최선의 방법은 대화와 소통이다. 그러나 소통은 이미 불가능해졌다. 공존을 위한 차선책을 찾을 수밖에 없다. 그것은 법치를 제대로 세우는 것뿐이다. 행정은 물론 사법과 입법조차 진영 논리에 휘둘려 법치가 실종된 요즘이다. 서울시가 촛불집회 시위대의 과태료 징수를 포기한 것부터 그렇다.하지만 최소한의 법치조차 지켜지지 않는다면 우리에겐 미래가 없다. 사회통합은 고사하고 국가 존립조차 위협받는 사태가 올 수도 있다. ☞한국경제신문 12월 9일자 A39면

----------------------------------------------------------------------------------------

[천자칼럼] 자기소개서

요즘 자기소개서는 꼭 ‘셀카’ 같다. 모두들 어떻게 하면 더 멋있고 예쁘게 보일까 하고 이리저리 각도를 잰다. 마음에 들지 않는 사진은 지우고 잘 나온 사진만 남긴다. 그래서 대부분의 셀카는 유명 연예인의 밀랍 표정이나 국적 없는 성형미인과 닮았다.

자기소개서의 본질은 생면부지의 채점관에게 자신의 본모습을 최대한 솔직하게 알리는 것이다. 입학시험 때부터 취업, 이직, 임원 공모 등 모든 선발 과정에 필요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그런데도 민낯은 가리고 화장발로 덧칠한 모습만 보여주려 애쓴다. 모범답안에 나올 것 같은 가공인물을 닮으려고 포장하기도 한다.

틀에 박힌 미사여구만 나열하거나 고릿적 문구까지 갖다 쓰는 개념상실형, 아무 정보도 없는 무색무취형도 있다. 대표적인 게 ‘유복하지는 않지만 화목한 가정에서 자라고, 취미는 독서와 음악감상이며, 학창 시절에는 줄곧 개근상을 탔고…’ 등이다. 이런 건 자신의 기본 교양까지 의심받게 만든다.

단순 경력만 나열하면 “너, 영조대왕이냐”는 소리를 듣는다. 최장기간(52년) 재위한 영조는 ‘자서’에다 몇 살에 작위를 받고 몇 년에 무슨 예를 행했으며 어떤 벼슬을 거쳤는지만 열거해놨는데 이런 건 빵점짜리다.

자기소개서를 아예 남에게 맡기는 ‘대필파’도 많다. 그래서 ‘애들 자기소개서는 학원이 다 써주고 어른들 자기소개서는 헤드헌팅업체가 써준다’는 말까지 나돈다. 거대 공기업 회장 자리는 물론이고 수많은 산하기관의 임원 공모에서도 이런 말이 나온다. 그러나 남이 써주는 글에는 진짜 경험이 빠져 있다. 그 나물에 그 밥이어서 장단점을 찾아내기도 어렵고 변별력도 없다. 그야말로 몰개성의 극치다.

제대로 된 자기소개서란 그 사람의 개성이 잘 드러나서 ‘이 사람 얼굴 한 번 보고 싶다’는 마음이 생길 정도가 돼야 한다. 엊그제 만난 한 기업 임원은 “모두가 비슷한 얘기여서 고민하다가 한 사람이 눈에 들어 바로 채용했다”고 했다. 아버지가 어릴 때 맨발로 다니다 파상풍에 걸린 게 마음 아파 방학 때마다 네팔 등 오지에서 자신의 헌 신발을 나눠주며 봉사했다는 경험을 높이 샀다는 것이다.

이처럼 자기소개서는 자신의 진면목을 객관적으로 전달하는 소통도구여서 나를 내세우려고 밀어붙이는 것보다 상대의 마음을 끌어당기는 게 더 중요하다. 글이나 말이나 진정성이 담겨 있어야 상대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다. 위선과 기만으로 분칠하면 남도 금방 알아챈다. ☞한국경제신문 12월 7일자 A31면